- 탈 달러화 정책에 1846.10달러 기록

3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1.1%(19.90달러) 오른 1846.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 지난해 6월 16일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값은 11월 초만 해도 온스당 1630달러 안팎에 거래됐지만 꾸준히 오르다가 새해 첫 거래일부터 상승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증시 변동성이 커지고 각국 중앙은행이 금을 사들이면서 매수세가 몰렸다.
올레 한센 삭소뱅크 상품전략부문장은 "경기침체와 증시의 밸류에이션 위험은 올해 금 가격에 우호적인 환경을 제공한다"면서 "지난해 여러 중앙은행들이 기록적인 양을 사들였을 때 보였던 '탈달러화'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상을 끝내고 이르면 연내 금리인하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금값이 올해 최고치를 찍을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스위스아시아 캐피털의 유어그 키너 최고투자책임자는 "금값이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 단순히 10%, 20% 수준이 아닐 것"이라며 "금값이 최고가를 경신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국힘 대선후보, 다시 김문수로…하루도 안돼 끝난 후보교체 촌극(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끝, 우리는 행복했다”…김보라, 조바른 감독과 이혼 후 근황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힘 대선후보, 다시 김문수로…하루도 안돼 끝난 후보교체 촌극(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韓 AI신약개발 진단]① K-신약 인공지능, 美와 격차 벌어지는 까닭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