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급 인력 모셔요”…CJ바이오사이언스, 인재 영입으로 사업 확장 ‘속도’
지난해 美 FDA에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1·2상 IND 신청
전문 인력 영입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사업 ‘박차’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CJ바이오사이언스가 전신인 천랩에서 사명을 바꾼지 1년이 됐다. 회사는 최근 석박사급 연구개발(R&D) 인력을 영입하며 출범 당시 내걸었던 “세계 1위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이 되겠다”는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CJ바이오사이언스는 현재 전략기획 업무를 맡을 석박사급 인재를 모집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치료제 개발과 시장 동향을 분석해 신약 R&D의 중장기 전략을 짜는 역할이다. 진단과 헬스케어 등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고 CJ그룹의 계열사와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업무도 맡게 된다. 회사는 지난해 생물정보학 분야 전문가와 전임상, 제약생산관리(CMC)를 맡을 인재도 채용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JRB-101’의 1·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제출한 만큼 관련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인력 충원에 나선 모습이다. 실제 이 회사의 석박사급 인력은 최근 1년 동안 2배 수준 늘었다. CJ제일제당이 천랩을 인수한 당시 4명에 불과했던 박사급 인력은 지난해 9월 19명이 됐다. 전체 직원 수도 2021년 말 74명에서 이듬해 9월 115명으로 확대됐다.
박사급 인력의 대다수는 ‘디스커버리센터’에 소속돼 회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을 연구하고 있다. 디스커버리센터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해 여러 질환에 적용할 수 있는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전임상 단계에서 약물의 유효성과 안전성과 관련한 연구를 담당하는 조직이다. 홍광희 센터장이 천종식 CJ바이오사이언스 대표와 호흡을 맞추며 디스커버리센터를 지휘하고 있다. 홍 센터장은 1991년 CJ제일제당 제약연구소에 입사한 뒤 아리바이오, 메디톡스 등을 거쳤다. 이후 CJ제일제당에서 신약 분야인 ‘레드 바이오’ 사업을 담당하다 CJ바이오사이언스에 합류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신약 개발의 근간인 R&D 비용도 크게 늘었다. CJ제일제당이 천랩을 인수하기 전 50억원을 밑돌던 R&D 비용은 지난해 3분기를 기준으로 누적 118억원으로 뛰었다. 매출에서 R&D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71%에서 2020년 94%, 2021년 111%로 증가했다. FDA가 CJRB-101의 임상 1·2상 IND를 승인하면 R&D 비용은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인 ‘CLP105’도 개발하고 있다. CLP105는 현재 전임상 단계로 내년 임상 1상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임상 진입한 파이프라인은 없지만…“확장 가능성 커”
천랩을 창업한 천 대표는 지난해 1월 출범식을 열고 3대 성장 전략을 통해 CJ바이오사이언스를 세계 최고의 마이크로바이옴 기업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3대 성장 전략으로는 R&D 역량 강화와 바이오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신약 개발, 신규 사업의 글로벌 확장 등을 제시했다. 천 대표는 당시 “2025년까지 면역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해 미국에서 임상시험을 시작할 것”이라며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연구를 추진해 주요 파이프라인을 기술 수출하겠다”고 했다. 3년 내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10개로 확대하고 2건의 기술 수출을 이뤄내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CJ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한 주요 파이프라인의 개발 단계는 다른 기업들보다 뒤처져 있다. 국내 기업 중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치료제 개발이 앞선 곳은 지놈앤컴퍼니와 고바이오랩 등이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제약사와 신약 후보물질을 공동 연구하는 등 다양한 R&D 성과를 공개해왔다. 두 기업 모두 임상 2상 단계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는 이미 FDA의 허가를 받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가 나왔다. 스위스의 페링 파마슈티컬스는 지난해 말 FDA로부터 재발성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감염증(CDI) 치료제인 ‘레비요타’를 허가받았다. 세레스 테라퓨틱스도 먹는 약으로 개발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CDI 치료제 ‘SER-109’의 FDA 승인 발표를 올해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CJ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기업 중 속도 면에서는 열위”라면서도 “천랩을 인수해 마이크로바이옴 R&D 역량을, 바타비아를 인수해 CDMO 관련 설비를 확보한 만큼 앞으로도 CJ그룹의 투자를 통해 사업을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케이크 맛집’ 할리스, 맛·비주얼로 고객 마음 잡았다
2“채소도 맛있게”...하림 푸디버디, ‘식물성 너겟’ 2종 선봬
3“설 명절, 숙면을 선물하세요”...시몬스, 숙면 베개 3종 선봬
4트럼프, AI 인프라 구축 박차…대규모 외국인 투자 유치
5비트코인, 美 금리 동결 가능성에 대폭 하락…9만6000달러선
6경상수지 7개월 연속 흑자…연간 900억달러 달성 전망
7'황금 설 연휴' 현실로…당정, 27일 임시공휴일 지정
8이광희 SC제일은행장 취임…“새로운 소매금융 전략 펼칠 것”
9엔화, 1달러=158엔대 전반 하락 출발…유로도 내림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