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스피, 외인·기관 ‘사자’에 상승…삼성전자 1%대 강세 [마감시황]

삼성전자 '어닝쇼크'에도 1%대 상승
KB금융·신한지주 등 은행株 강세

6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32포인트(1.12%) 오른 2289.98에 장을 마쳤다.
[이코노미스트 김연서 기자] 6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5.32포인트(1.12%) 오른 2289.98에 장을 마쳤다. 투자자별로은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43억원, 2450억원 사들인 반면 개인은 5675억원 팔아치웠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2개 종목을 제외하고는 모두 상승 마감했다. KB금융(5.19%), 신한지주(2.92%) 등 은행주의 강세가 두드러졌고, 완성차 기업 현대차(0.31%), 기아(0.65%)도 소폭 상승했다. 반면 네이버(-0.54%)와 카카오(-0.87%)는 하락 마감했다.

삼성전자는 ‘어닝쇼크’에도 불구하고 전일 대비 1.37%(800원) 오른 5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4조 3천억 원으로 잠정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줄었다고 밝혔다. 지난 3일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 강화도 여전히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SK하이닉스(2.09%), LG에너지솔루션(2.42%). 포스코홀딩스(2.69%), 포스코케미칼(2.72%), KT&G(2.05%) 등은 2% 이상 오르며 장을 마쳤다.

코스닥지수는 전날보다 9.02포인트(1.33%) 상승한 688.94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607억원, 106억원 순매도했고 외국인은 나홀로 819억원 순매수했다.

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은 희비가 엇갈렸다. 2차전지주인 에코프로비엠(2.16%), 엘앤에프(0.96%), 천보(0.24%)는 상승 마감했지만, 에코프로는 전일 대비 0.63%(700원) 하락한 10만960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B는 전 거래일 대비 11.47%(3200원) 급등하며 종가 3만1100원을 기록했다. HLB생명과학(9.45%)도 9%대 급등했다.

반도체 관련 기업의 강세도 돋보였다. 솔브레인은 전일 대비 1.24%(2800원) 오른 22만8500원에 거래를 마쳤고, 원익IPS는 전일 대비 6.39%(1750원) 오른 2만9150원에 마감했다. 솔브레인과 원익IPS는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으로 삼성전자의 지분 투자를 받고 있다.

게임주는 희비가 엇갈렸다. 카카오게임즈(-1.56%)와 펄어비스(-1.39%)는 1%대 하락하며 장을 마쳤다. 반면 위메이드는 전일 대비 0.91%(300원) 오른 3만3400원에 거래를 종료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월 서울 원룸 전월세 가격 소폭 올라…평균 월세 75만원

2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3고려아연 “ESG 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

4블랙핑크 리사 나오자 '초대박'…'예약률 500%' 난리 난 이곳은

5한화손보, 화재피해 여성가정에 총 1400만원 지원

6코스닥협회, 이동훈 켐트로스 대표 신임 회장 선임

7한은, 금리인하 시계 다시 ‘째깍’…“경기 하방압력 완화”

8현대건설, 유망 스타트업 혁신기술 지원한다

9코스피, 美 기술주 약세에 이틀째 부진…2620대 후퇴

실시간 뉴스

11월 서울 원룸 전월세 가격 소폭 올라…평균 월세 75만원

2충남 천안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작업자 8명 매몰 추정

3고려아연 “ESG 경영 체계 고도화 지속”

4블랙핑크 리사 나오자 '초대박'…'예약률 500%' 난리 난 이곳은

5한화손보, 화재피해 여성가정에 총 1400만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