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 개발자 ‘택진이형’, ‘포스트 리니지’ 성공할까
[게임 빅3 수장 열전]②
한때 여러 광고 출연하며 대중들에게 친근한 이미지 구축
여전히 높은 리니지 IP 비중…포스트 리니지 준비 중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창업자로 손꼽힌다. 특히 사업가로서의 면모가 강한 넥슨·넷마블 창업자들과 달리 지금도 현업에서 게임 개발을 진두지휘할 정도로, 개발자로서 강한 자부심을 지니고 있다.
김 대표는 한국 게임시장 발전에도 큰 공을 세웠지만 소프트웨어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김 대표는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재학 시절부터 개발 정신이 투철했다. 1989년 ‘한국의 빌 게이츠’로 불렸던 이찬진과 한글 워드프로세서인 ‘아래아한글’을 공동 개발했으며, 한메소프트를 세워 도스용 ‘한메타자교사’를 개발하는 등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서 명성을 날렸다.
직접 게임 광고 출연하며 ‘택진이형’으로 유명세
이후 현대전자에 입사한 그는 세계 최초 인터넷 기반 PC통신인 아미넷을 개발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1997년 현대전자에서 일하던 동료 16명과 함께 자본금 1억원으로 새로운 회사를 설립했다. 그 회사가 바로 엔씨소프트다. 엔씨는 이듬해인 1998년 온라인 RPG ‘리니지’를 선보인다. 리니지는 이후 엄청난 흥행을 기록하며 국내 RPG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가 됐다. 2003년 출시한 ‘리니지2’ 역시 전작 못지않은 흥행을 기록하며 엔씨의 대표 게임으로 자리 잡았다. 엔씨는 이후 2008년 ‘아이온’, 2012년 ‘블레이드앤소울’ 등을 선보이며 RPG 명가의 자존심을 계속해서 지켜왔다.
김 대표는 모바일 시장에서도 리니지 IP로 큰 성공을 거뒀다. 엔씨는 모바일게임 개발에 돌입, 2017년 ‘리니지M’을 출시하며, 모바일시장에서 리니지의 저력을 증명했다. 2019년에는 ‘리니지2M’을 출시, 모바일게임 기술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렸으며 2021년에는 ‘리니지W’를 선보이며 리니지 IP 모바일게임들을 연달아 성공시켰다.
엔씨는 국내 게임사 가운데 뛰어난 기술력으로도 유명하다. 내부 허들 역시 높다. 특히 개발력에 대한 자부심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엔씨 출신 개발자들은 다른 곳으로 이직하거나 새로운 게임사를 창업할 때 자신이 엔씨 출신임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다른 경쟁사들이 타사 게임을 활용한 퍼블리싱에 집중할 때, 엔씨는 스스로 개발한 자체 개발작 위주로 승부수를 띄웠다.
김 대표는 ‘택진이형’이라는 호칭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지난 2017년 ‘리니지M’ 광고에 출연하면서 대중들에게 친근한 이미지를 얻었다. 당시 광고 영상은 공개 직후 연일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김 대표가 자사 게임 홍보 영상에 출연한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특히 유저들이 게임 내 아이템 강화에 실패할 때마다 김 대표를 욕하던 모습을 코믹하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많은 유저의 공감대를 이끌어 냈다.
하지만 ‘잘 나가는’ 엔씨에도 고민은 있다. 리니지를 비롯한 대다수 게임이 많은 시간과 높은 과금을 요구하는 하드코어 RPG이다 보니, 최근 새로운 소비 주축으로 떠오른 MZ세대에게 큰 인기를 끌지 못하는 것이다.
MZ세대에게 인기 없는 ‘리니지’ IP…포스트 리니지 도전 나선 엔씨
MZ세대는 그 이전 세대와 달리 한 게임에 많은 시간을 쏟지 않는다. 그들은 게임을 직접 하는 것보다 보는 것을 더 즐긴다. 엔씨 역시 젊은 유저들의 이탈을 크게 걱정하고 있다. 특히 10대와 20대는 원작 리니지에 대해 이름만 들어봤을 뿐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다. 당연히 리니지에 대한 추억 역시 없다. 리니지M과 리니지2M이 큰 성공을 거둔 배경에는 과거 원작 PC 게임을 즐겼던 30~50대 게임 유저들, 이른바 ‘린저씨’(리니지+아저씨의 합성어)의 전폭적인 지지가 있었다. 특히 엔씨가 만든 게임들은 대부분 높은 과금 수준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30~50대와 비교해 경제력이 떨어지는 MZ세대가 엔씨 게임들을 제대로 접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엔씨는 ‘트릭스터M’, ‘블레이드앤소울2’ 등 리니지 IP에 비해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모바일 MMORPG도 출시했으나, 출시 당시 기존 리니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과금으로 유저들의 많은 비판을 받았다. 특히 엔씨는 트릭스터M의 원작인 ‘트릭스터’가 젊은층, 특히 여성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만큼, 트릭스터M이 엔씨의 유저 스펙트럼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흥행에는 결국 실패했다.
이런 상황에서 엔씨는 고객 스펙트럼을 넓히고자 콘솔 및 PC 플레이가 가능한 여러 신작들을 개발하고 있다. 해당 게임들의 공통점은 ‘리니지’ IP를 기반으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장 먼저 선보일 게임은 PC 및 콘솔 신작 ‘TL’이다. 아울러 ‘프로젝트E’도 개발 중이다. TL과 프로젝트E는 세계관을 공유하는 엔씨의 새로운 오리지널 IP다. 하나의 세계관 안에서 서로 다른 역사가 펼쳐지는 두 대륙의 이야기를 담았다. TL은 서양 중세 콘셉트의 솔리시움(Solisium) 대륙이, 프로젝트E는 동양 중세 콘셉트의 라이작(Laisak, 가칭) 대륙이 중심이다.
TL 속 캐릭터는 육상, 수상, 공중에 특화된 동물로 변신해 이동할 수 있으며, 각 동물의 이동 기술들을 활용해야 탐험이 가능한 지역도 존재한다. 아울러 TL은 낮과 밤, 비와 바람 같은 환경 요소들이 게임 플레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기획됐다. TL은 올해 상반기 글로벌 동시 출시 예정이다.
인기 콘솔 게임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을 연상케 하는 엔씨의 신작 ‘프로젝트M’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토리의 흐름과 결말이 달라지는 게임이다. 3D 스캔, 모션캡처, VFX(시각 특수효과) 등 엔씨가 보유한 자체 기술력으로 캐릭터의 표정과 동작을 정교하게 구현하고, 언리얼엔진5를 활용해 실사 수준의 그래픽을 보여준다. 출시 일정은 미정이다.
엔씨는 최근 신작 슈팅게임 ‘LLL’ 영상도 공개했다. LLL은 3인칭 슈팅과 MMORPG 두 장르를 결합한 트리플 A급 신작이다. 오픈월드의 자유로운 경험과 플레이어 간의 협력, 전략적 전투를 핵심 요소로 개발하고 있다. 다양한 타깃을 대상으로 세밀한 조작감이 요구되며, 특수 병기를 적재적소에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LLL 전투의 핵심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서울원' 흥행·재무구조 개선에 실적 호조 기록한 HDC현산
2SPC그룹, 연말 맞이 ‘임직원 헌혈 송년회’ 진행
3이랜드 미쏘, 연말 시즌 맞아 윈터 홀리데이 컬렉션 출시
4“가성비 VS 프리미엄”…GS25, 12월 주류 프로모션 진행
5구글, 캐나다서도 광고시장 독점 혐의로 제소…영국서도 조사중
6현대건설 ‘힐스테이트 등촌역’ 견본주택 29일 개관
7"합치고 새로 만들고"...KT, 2025 조직개편 단행
8LG생활건강, 일본 대표 이커머스 행사 매출 292% 성장
9"캠핑장·전시관에서도 세금포인트로 할인 받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