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레고랜드 사태' 여파로 지난해 어음부도율 4년 만에 최고 기록
- 지난해 9월 레고랜드 사태 발생, 어음부도율 0.26%로 치솟아
부도금액 지난해 2조2520억원 기록, 전년대비 18.3% 급증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지난해 9월 발생한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시장 경색 등으로 기업 어음부도율이 2018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어음부도율은 어음교환소에 들어온 어음과 수표 중 부도 처리된 금액의 비율을 뜻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어음부도율은 0.10%로 전년 대비 0.03%포인트(p) 상승했다. 연간 어음부도율은 2009년 관련 통계가 제공된 이후 0.1%대를 유지했고, 2018년 0.13%로 높아진 바 있다. 하지만 이후 0.08%(2019년), 0.06%(2020년), 0.07%(0.07%) 등으로 낮아졌다. 그러다 지난해 0.1%대로 다시 높아졌다.
지난해 부도 금액은 2조2520억원으로 2021년 1조9032억원 대비 18.3%나 급증했다. 부도금액 역시 2018년 2조9159억원 이후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지난해 어음부도율이 높아진 것은 레고랜드 사태가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월별 어음부도율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7월 어음부도율은 0.01%, 8월 0.02%에 불과했다. 레고랜드 사태가 터진 9월에 0.26%로 급격하게 상승한 뒤 10월에도 0.20%를 기록했다. 이후 11월 0.16%, 12월 0.11%로 떨어졌지만 9월 레고랜드 여파가 여전히 영향을 끼쳤다.
레고랜드 사태가 발생했던 지난해 9월 어음부도율은 2017년 6월에 기록했던 0.28% 이후 가장 높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회사채 발행시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기업대출 금리가 높아지는 등의 자금시장이 혼란에 빠졌음을 알 수 있다.
레고랜드 사태는 지난해 9월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춘천시 레고랜드 테마파크 개발 시행사인 강원중도개발공사의 회생 절차를 신청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강원도가 출자회사인 중도개발공사에게 서준 보증 2050억원을 갚지 않겠다는 것으로 해석했고, 지자체가 보증을 선 증권까지 채무 불이행에 빠졌다는 공포가 확산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