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첫 FOMC 앞두고 긴장감 돈다…‘통화정책 완화’ 나올까
오는 31일~2월1일 미 연준의 올 첫 FOMC 열려
매파 주장, 긴축 완화 전망 엇갈려
빅스텝 나올 시, 역성장 시작한 韓 경제 타격 커질 전망

FOMC 앞둔 시장 시장 참여자들 “지나치게 낙관적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 연준은 오는 31일~2월1일(한국시간) 일정으로 열리는 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발표한다. 미 연준은 지난해에 강한 금리 인상을 이어갔다. 5월 빅스텝(0.50%포인트 인상)을 시작으로 ▶6월 0.75%포인트 인상 ▶7월 0.75%포인트 인상 ▶9월 0.75%포인트 인상 ▶11월 0.75%포인트 인상 ▶12월 0.50%포인트 인상 등을 실시했다.
이로 인해 한미 금리차는 최고 1.25%포인트까지 확대됐고, 올해 1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 올리면서 다시 1.00%포인트로 좁혀졌다.
하지만 금융권에서 우려하는 것은 한미 금리차가 2월 이후 어디까지 확대될 것인지다. 현재 미 연준의 기준금리는 4.25~4.50%다. 기존의 연준 금리 인상 속도처럼 빅스텝이 나오면 한미 금리차는 1.50%포인트로 확대된다.
시장에서는 일단 연준의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하고 있지만,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분석된다. 지난 19일(현지시간)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최고경영자(CEO)가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올해 말 예상 연준의 금리를 시장의 예상치인 5.0∼5.25%보다 더 높아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이들은 최근 물가 하락세가 유가 하락에 맞물려 일시적 현상일 가능성이 높고,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철회로 중국 여행객이 늘어날 경우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 물가를 다시 높일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한다. 특히 미국 고용지표가 여전히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연준이 긴축 지속에 무게를 실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시장이 기대하는 연준의 금리 속도 조절이 나오지 않을 경우 시장의 충격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불안감이 가시지 않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이 지나치게 낙관적 또는 성급한 기대 쪽으로 편중된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며 “미 연준과 시장의 간극이 크고 점점 더 벌어지고 있어 이 경우 미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이 시장 기대를 조금만 벗어나더라도 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역성장 시작한 한국 경제, 미 연준 결정에 주목

특히 지난해 2분기부터 살아나기 시작한 민간소비가 감소로 돌아섰다. 이는 대출 금리와 물가 상승 여파로 가계들의 이자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가계들의 소비 감소에 따라 기업들의 영업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미 연준이 올해 첫 FOMC에서 강한 긴축을 이어갈 경우 한미 금리차 확대에 따라 원/달러 및 수입물가 상승, 글로벌 경기 악화 확대 등으로 한은의 금리 속도조절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다만 캐나다 중앙은행(BOC)이 주요 7개국(G7) 중 처음으로 1월 기준금리인 익일물 금리 유도목표를 0.25% 포인트 올려, 이전 인상폭의 절반으로 낮추면서 다른 주요국들도 금리 인상 조절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경기 침체 심화, 부동산 경착륙 우려로 기준금리를 더 올리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요국 중앙은행들도 확실히 인상 마무리 국면에 들어서는 모습”이라며 “(연준 인사들이) 과도한 긴축으로 인한 부작용을 직접적으로 우려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정책에 대한 확신 부족이 드러났다고 볼 수 있어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2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3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4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5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6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7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8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
9코빗 리서치센터, ‘기관 자금 동향: 정책 변화가 가져온 시장 재편’ 보고서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