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거리두기 해제에 ‘패션’ 날았다”…신세계인터 영업익 첫 ‘1000억’ 돌파

신세계인터, 지난해 매출액 1조5539억원, 영업익 1153억원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익 1000억원 돌파, 역대 최대실적
패션·뷰티·라이프스타일 전 사업부문 고르게 성장

신세계인터내셔날 청담 사옥 모습. [사진 신세계인터내셔날]
[이코노미스트 김채영 기자]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지난해 창사 이래 최초로 영업이익 1000억원을 돌파하는 등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전 사업부문이 고른 실적을 보인 덕이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출이 늘어나면서 패션부문 실적이 크게 증가했단 설명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1조5539억원, 영업이익 1153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7.1%, 영업이익은 25.3% 각각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세웠다. 특히 영업이익은 창사 이래 최초 10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303억원으로 전년 대비 3% 증가하며 소비심리 하락 속에서도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 영업이익은 브랜드 육성을 위한 투자 비용과 사업 효율화를 위한 일시적 비용이 증가하면서 35.8% 감소한 193억원을 기록했단 설명이다. 

지난 1년간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전 사업부문이 고른 실적을 보인 가운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외출이 늘어나면서 패션부문의 실적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탄탄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는 해외패션이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보브, 지컷, 델라라나, 스튜디오 톰보이 등 국내 패션은 매출 증가와 함께 수익성이 개선됐다.

코스메틱 부문은 수입 브랜드의 견조한 성장 속에서 자체 브랜드 육성을 위한 투자를 지속했다. 그 결과 자체 럭셔리 화장품 뽀아레는 브랜드 캠페인을 통해 인지도를 넓히며 전년 동기 대비 181.7% 매출이 증가했으며, 라이프스타일 뷰티 브랜드 로이비는 유통망 확대와 향수, 스킨케어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매출이 81.7% 늘었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자주(JAJU) 부문도 파자마, 언더웨어, 친환경 생활용품 등 전략상품 육성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관계자는 “올해는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중국 리오프닝으로 화장품 쪽에서 좋은 성과가 기대된다”면서 “신규 브랜드 도입과 육성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마련하고 사업 효율성을 높여 지속 성장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