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픽셀플레이, 챗GPT 도입한 슈팅 게임 선보인다…에임랩스와 MOU 체결

블록체인 웹3 게임에 챗GPT 활용, 지속가능한 게임 생태계 구축 위해 협력
보다 방대한 세계관, 콘텐츠, 시스템을 AI 언어모델과 딥러닝을 통해 공동 개발

픽셀플레이 로고 [사진 픽셀플레이]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블록체인 게임 전문 개발사 픽셀플레이와 AI 언어모델 스타트업 에임랩스는 국내 온라인 게임 최초로 챗GPT를 활용한 웹3 기반 슈팅 게임 ‘픽셀배틀’의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달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실시한 픽셀배틀은 웹3 기반의 웹브라우저 PvP(이용자간 대결) 슈팅 게임이다. MLAgents 툴의 딥러닝(Deep Learning) 강화 학습으로 1000만번 이상 학습 시킨 AI를 개발 과정에 투입해 개발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 시켰다. 또한 유저와 상대하는 NPC는 반복학습 과정으로 진보된 플레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에임랩스는 AI기반의 언어모델과 최신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으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기획, 제작하는 스타트업이다. 자체 특허를 바탕으로 한 콘텐츠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커머스 서비스 ‘가지당’의 사업을 운영했으며 AI와 콘텐츠를 활용한 기획 및 제작에서도 독보적인 기획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픽셀플레이는 챗GPT를 활용해 픽셀배틀의 세계관 학습을 통해 확장된 게임 콘텐츠 개발뿐만 아니라 게임 외 콘텐츠 제작에도 나설 계획이다. 챗GPT로 생산된 스토리는 커뮤니티에 선공개 한 이후 순차적으로 게임 콘텐츠에 반영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픽셀플레이는 픽셀배틀 공식 디스코드 채널을 통해 게임 의견을 수렴해 게임 개발에 반영하고 이용자들에게 챗GPT와 미드저니 등 생성형 AI를 활용한 스토리, 이미지 등 픽셀배틀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이용자 제작 콘텐츠 공모를 통한 NFT 증정 등 다양한 혜택도 제공한다.
 
박진배 픽셀플레이 대표는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 제작 효율화 및 콘텐츠 양산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유저에게 보다 방대하고 탄탄한 세계관과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더욱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부터 오픈베타서비스가 진행 중인 픽셀배틀은 현재까지 총 1000개의 NFT 발행이 되는 등 올해 상반기 남미와 동남아시아를 주력으로 글로벌 정식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챗GPT, 미드저니, TTS를 활용한 픽셀배틀 프리퀄 영상도 공개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

6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7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8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9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실시간 뉴스

1hy, ‘NK7714 프로바이오틱스 콜레스테롤 선 에센스’ 출시

2bhc치킨, 상조 서비스 도입...동반성장 위한 가맹점 지원 확대

3골든블랑, 여름 시즌 한정판 ‘오픈에어 패키지 2024’ 출시

4파리올림픽 누비는 카스...배하준 오비맥주 사장 “맥주 그 이상의 의미”

5그랜드벤처스, 탄소회계 솔루션 '카본사우루스'에 프리 A 라운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