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국제 재생표준인증 획득…폐플라스틱 재활용 본격화
GRS, 환경‧화학‧노동인권 기준 충족해야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한화솔루션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rPE(재활용 폴리에틸렌, Recycled PE) 소재에 대해 글로벌 인증기관인 컨트롤 유니온으로부터 국제 재생표준인증인 ‘GRS(Global Recycled Standard)’를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컨트롤 유니온의 GRS는 20% 이상의 재생원료 함량 요건 등 환경, 화학 기준은 물론 노동 인권 등 사회적 기준까지 모두 충족해야 받을 수 있는 국제 인증이다. 최근 글로벌 소비재 기업이 요구하는 여러 친환경 인증 가운데 신뢰도가 높은 인증 중 하나로 해석된다.
한화솔루션은 rPE 원료의 생산·가공·유통 단계에 있는 협력업체까지 묶어 공급단계 전 과정의 ‘GRS’ 인증을 일괄 취득했다. 지난해에는 유럽연합 기준의 지속가능성 관련 인증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 Carbon Certification) plus를 획득한 바 있다.
회사 측은 최근 친환경 제품 확산 추세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생산을 시작한 rPE 기반의 산업용 재생 포장백 사용을 늘리는 것은 물론 국내 소비재 기업들과의 협업을 보다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3자 업무협약을 맺은 한국콜마홀딩스, 연우와 함께 상용화를 추진 중인 친환경 화장품 패키징을 시작으로 rPE 적용 품목을 다각화해 2027년까지 rPE 공급량을 연간 1만톤(t)까지 늘리겠다는 방침이다.
원재식 한화솔루션 PO사업부장은 “이번 GRS 인증을 통해 신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인 rPE 기반 제품의 친환경성을 인정받았다”며 “ESG 경영 강화와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제품에 친환경 재생원료를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2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3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4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5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
6현대차가 짓는 삼성동 GBC, '105층 1개동→54층 3개동'으로
7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비트, 14억달러 해킹...'최대 규모'
8 트럼프, 찰스 브라운 합참의장 전격 해임
9'故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골때녀 하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