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경상수지 –45.2억달러 ‘사상 최대’ 적자…‘반도체 한파’에 수출 ‘뚝’
1월 경상수지 한 달 만에 다시 적자
수출 부진, 여행수지 등 적자 규모 커져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에 반도체·철강 부진
![](/data/ecn/image/2022/01/11/ecnd2dc7541-91e1-4806-af98-bfa3efac1b13.559x.0.jpg)
한국은행이 지난 10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경상수지는 45억2000만달러(약 5조9664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경상수지는 지난해 11월 2억2000만달러 적자에서 12월 배당소득 수지 증가 등으로 흑자(26억8000만달러) 전환에 성공했지만, 두 달 연속 흑자를 이어가는 데 실패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상품수지가 74억6000만달러 적자였다. 4개월 연속 적자일 뿐 아니라 1년 전(15억4000만달러 흑자)과 비교해 수지가 90억달러나 급감했다. 우선 수출(480억달러)이 지난해 1월보다 14.9%(83억8000만달러) 줄었다. 앞서 지난해 9월 수출이 23개월 만에 처음 전년 같은 달보다 감소한 뒤 5개월 연속 줄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으로 반도체(통관 기준 -43.4%), 철강 제품(-24.0%), 화학공업 제품(-18.6%)이 부진했고 지역별로는 중국(-31.4%), 동남아(-27.9%), 일본(-12.7%)으로의 수출이 위축됐다.
반면 수입(554억6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1.1%(6억2000만달러) 증가했다. 특히 승용차(65.9%), 곡물(6.1%) 등 소비재 수입이 3.9% 늘었다. 하지만 원자재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3% 줄었다. 원자재 중 원유와 석유제품 수입액(통관 기준) 감소율이 11.0%, 12.4%에 이르렀다.
서비스수지 역시 32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8억3000만달러)과 비교해 적자 폭이 24억4000만달러나 커졌다.
세부적으로 운송수지는 흑자(1억2000만달러) 기조를 유지했지만, 1년 전(18억9000만달러)보다 흑자 규모가 17억7000만달러 축소됐다. 1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같은 기간 79.5%나 떨어졌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방역이 완화되면서 여행수지 적자도 1년 사이 5억5000만달러에서 거의 3배인 14억9000만달러로 늘었다. 본원소득수지 흑자(63억8000만달러)는 지난해 1월(18억7000만달러)보다 45억1000만달러 증가했다.
본원소득수지 가운데 배당소득수지 흑자(56억6000만달러)가 1년 새 45억5000만달러나 늘었다. 한은은 국내기업의 해외법인이 본사로 거액의 배당금을 송금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6“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7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8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9“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