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관광‧서비스 등 내수 소비 촉진 대책 추진…효과는?

소비쿠폰‧온누리 상품권 확대 등 검토

3월 1일 서울 명동거리가 시민과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정부가 이르면 이달 말에 내수 소비 확대를 유도하는 내용의 대책 발표를 검토하고 있다. 국내 관광이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내수 소비를 진작시켜 코로나19 사태로 고꾸라진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다만 최근 물가 상승으로 서민의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내수 소비 촉진 대책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정부는 물가를 자극하지 않는 범위에서 지원책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12일 정부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은 내수 소비 촉진 대책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이달 말 발표를 목표로 내수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코로나19 사태로 시행된 국내외 방역 규제가 사실상 해제된 시점인 만큼, 내수 소비 정상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관광 산업과 관련해 외국인의 한국 방문 관광을 유도하는 방안이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과 중국 양국이 국제선 항공 여객에 대한 방역 규제를 완화한 만큼, 중국인 관광객 유치 방안을 마련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중국 정부가 자국민의 해외 단체여행 허용 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등의 이른바 ‘외교 보복’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정부는 국내 여행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여행이나 숙박 등과 관련해 소비쿠폰을 지원하는 대책이 시행될 수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해외여행 수요를 국내 여행 수요로 돌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정부는 2021년에도 숙박 등과 관련한 소비쿠폰 지원에 나선 바 있다. 당시엔 온라인 예약 시에 숙박비 3만~4만원을 할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외에도 정부는 온누리 상품권 특별 판매 등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기금 등을 활용해 온누리 상품권 발행량을 확대하거나 할인율을 늘리는 방안일 가능성이 있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국내 소비 진작을 위한 행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거시경제 정책 기조를 감안한 내수 소비 촉진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물가 상승 억제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내수 소비 촉진 대책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추가적인 예산 투입도 고려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2“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3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4“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5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6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7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8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9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실시간 뉴스

1뉴욕유가, 러 송유관 타격·OPEC 증산 연기설에 상승

2“몇호가 이 가격에 내놨어?”...아파트 단톡방 담합에 칼 뺐다

3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4“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5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