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핫(Hot)하고 펀(Fun)한 기아 EV6…잘 팔리는 이유 있었네 [타봤어요]

스포츠카 떠올리게 하는 역동적 디자인 눈길
전반적으로 단단한 세팅…가속력도 일품


기아 EV6. [사진 이건엄 기자]

[이코노미스트 이건엄 기자] 완성차업계에 친환경 바람이 불며 전동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들이 잇달아 전기차를 내놓으며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고 있다. 그중 기아 EV6는 한국을 대표하는 전기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련된 디자인과 강력한 성능, 긴 주행거리 등 인기 전기차의 덕목을 모두 갖췄다는 평가를 받으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기 때문이다. 기아 EV6 GT-line을 직접 시승해봤다.

기아 EV6의 전면부는 미래지향적인 느낌이 다분하다. 기아 정면 디자인의 상징이었던 ‘타이거 노즈’를 전기차에 맞춰 재해석한 ‘디지털 타이거 페이스’ 그릴을 적용해 기존 대비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준다. 특유의 쐐기형 주간주행등(DRL)과 굵은 캐릭터 라인이 돋보이는 본넷이 조화를 이뤄 역동적인 모습을 연출했다. 특히 GT-line에만 적용된 각진 범퍼가 멋을 더했다. 기아에서는 EV6의 이같은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을 뜻하는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로 명명했다.

EV6의 옆모습은 흡사 스포츠카를 연상시킨다. 앞 휀더를 덮은 클램쉘 타입의 본넷에서 날카롭게 뻗어 올라온 A필러가 루프라인까지 자연스럽게 이어져 일체감을 선사한다. 특히 루프라인이 뒤로 갈수록 완만하게 떨어지며 형성한 쿠페라인도 역동감을 더한다. 여기에 볼륨감있는 오버휀더와 다체로운 캐릭터라인이 어우러져 EV6의 정체성을 잘 드러낸다. 전기차 특유의 긴 휠베이스 역시 EV6의 스포티함을 강조한다. EV6의 휠베이스는 2900㎜로 대형 세단과 비슷한 수준이다. 

후면부의 존재감도 상당하다. 트렁크 리드를 따라 솟아 오른 경계면을 그대로 가로지르는 테일램프가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줌과 동시에 립 스포일러 역할을 해준다. 여기에 부채꼴 모양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적용돼 EV6의 개성을 잘 나타낸다.

또 테일램프 아래에 있는 크롬 가니쉬는 후면부의 디테일을 더한다. 특히 우측 테일램프 아래 빌트인 된 충전구 덕분에 일체감 있는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었다. 

리어 범퍼의 하단 부분은 유광 블랙 하이그로시로 마감해 EV6의 다이내믹한 존재감을 부각하고, 범퍼 하단에 적용된 디퓨저는 전기차의 평평한 바닥을 타고 나온 공기의 유동이 최적화되도록 디자인했다.
기아 EV6 실내 모습. [사진 이건엄 기자]

미래지향적 인테리어

실내로 들어오면 최첨단 전기차를 타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다. 내장 디자인 중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전면부를 매끄럽게 감싸듯 자리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다. 넓게 펼쳐진 화면과 슬림하게 자리한 대시보드는 시각적 확장감을 극대화하면서도 차량의 내부를 더욱 넓어 보이게 한다. 

특히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해 모든 요소가 운전자를 중심으로 배치돼 사용성을 극대화했다. 2포크 스티어링 휠도 EV6의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배가시킨다. 큼지막한 새로운 기아 로고와 D컷 형상의 스티어링휠이 조화를 이뤄 고급감이 상당하다. 

대시보드 하단에 자리잡은 가니쉬의 슬림라인은 차량을 좌우로 확장시키는 느낌과 함께 개방감을 선사한다. 또 운전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설정 가능한 앰비언트 라이트가 실내 감성을 더해준다. 전원버튼과 기어 다이얼이 위치한 센터콘솔은 중앙에 떠 있는 듯한 독특한 형상이다. 최첨단 느낌을 줌과 동시에 공간 활용성까지 챙기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EV6의 시트도 일반 내연기관 차량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기존의 정형화된 소재와 디자인에서 탈피해 독창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재탄생했다. 기능성도 훌륭한 편으로 얇고 가볍지만 운전자가 안락함을 느끼기에는 충분하다. 친환경 공정 나파 가죽 시트의 촉감도 만족스럽다.
기아 EV6가 충전 중이다. [사진 이건엄 기자]

운전재미에 초점

이번 시승은 도심과 고속도로 등 다양한 환경에서 200㎞ 이상 주행하며 진행됐다. 극한 보다는 일상 주행에 초점을 두고 데일리카로서의 면모를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센터콘솔의 전원 버튼을 누르고 다이얼 타입의 변속기를 드라이브(D)에 설정한 뒤 본격적인 시승에 나섰다. 

EV6의 전반적인 세팅은 운전재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차량 하부에 깔린 배터리가 낮은 무게중심을 형성하고 서스펜션 역시 EV6의 역동성을 고려해 단단하게 세팅됐다. 형제차인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전기차인 만큼 가속감도 뛰어난데 시속 100㎞까지는 순식간이었다. 기아 EV6 GT라인에는 앞, 뒤 듀얼모터를 탑재해 4륜 구동을 구현했다. 최고 출력 325마력, 최대 토크 61.7kgf·m로 웬만한 스포츠카 이상의 성능을 자랑한다. 덕분에 쾌적한 가속은 물론 추월 시에도 무리없는 주행이 가능했다.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EV6지만 효율성도 겸비했다. 77.4kWh의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403㎞ 주행이 가능하다. 전비도 복합 ㎞당 4.6kWh로 시중에 나와 있는 전기차 대비 경쟁력이 높은 편이다. 실제 주행에서도 공인 전비에 근접한 4.4kWh를 기록했다. 비교적 고속 주행 비중이 높았던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수준의 전비다. 여기에 EV6는 350kw급 초고속 충전까지 지원해 0%에서 80%까지 18분이면 충전이 가능하다. 

한편 기아는 EV6 2023년형 모델을 출시하며 세제 혜택 후 기준 가격을 트림별로 최대 410만원 올리고 신규 트림 라이트를 추가했다. 스탠다드 모델은 ▲라이트 4870만원 ▲에어 4730만원에서 5140만원(410만원) ▲어스 5155만원에서 5495만원(340만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롱레인지 모델은 ▲라이트 5260만원 ▲에어 5120만원에서 5530만원(410만원) ▲어스 5595만원에서 5935만원(340만원) ▲GT-Line 5680만원에서 5995만원(315만원)으로 상승했다.
기아 EV6. [사진 이건엄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서울시,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속도낸다…"통합심의 적극 추진"

2“타는 냄새”…공덕역 연기 발생해 무정차 통과 중

3 권영세 “尹 하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옳은 방법 아냐”

4서울 아파트 평당 매매가 4천만원 붕괴…전월 대비 5.2%↓

5‘이민정♥’이병헌, 늦둥이 딸 손잡고 산책... 딸바보 다 됐네

6故 김새론 팬들, 추모 성명문... “잘못에 지나치게 가혹한 대중”

7코스피, 트럼프 관세 정책에도 닷새째 상승…2600대 돌파 코앞

8LF몰, 24일까지 ‘트렌드 프리뷰’…봄 신상 최대 3만원 할인

9“호캉스+생일파티 한 번에!”…더 플라자, ‘해피 벌스데이’ 패키지 출시

실시간 뉴스

1서울시,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속도낸다…"통합심의 적극 추진"

2“타는 냄새”…공덕역 연기 발생해 무정차 통과 중

3 권영세 “尹 하야,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옳은 방법 아냐”

4서울 아파트 평당 매매가 4천만원 붕괴…전월 대비 5.2%↓

5‘이민정♥’이병헌, 늦둥이 딸 손잡고 산책... 딸바보 다 됐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