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40대 초반 신부, 20대 초반보다 많다…女 연상 부부 비중 사상 최고
- 25년간 혼인건수 20대 초반 여성 93%↓…40대 초반 여성 50%↑
20대 인구 감소·결혼 가치관 변화에 따른 결과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초반(40∼44세) 여성의 혼인 건수는 1만949건이었다. 20대 초반(20∼24세) 여성의 혼인 건수인 1만113건보다 많았다.
2021년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은 1만412건으로 연령대별 혼인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9985건)를 앞선 바 있다. 이제 40대 초반 신부를 20대 초반 신부보다 더 쉽게 볼 수 있다는 의미다.
25년 전인 1997년 통계와 비교해보면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7322건에서 1만949건으로 50%나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13만6918건에서 1만113건으로 93%나 감소했다.
20대 초반 여성 혼인 건수가 10분의 1수준으로 줄어드는 동안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1.5배로 증가한 것이다. 특히 40대 여성의 초혼이 1997년 1484건에서 지난해 5835건으로 3.9배 수준으로 늘었다.
전체 혼인 건수도 1997년 38만8960건에서 19만1690건으로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변화는 20대 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인구 고령화가 혼인 건수에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연령별 주민등록 연앙인구(연초와 연말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를 보면 20대 초반 여성은 1997년 204만7000명에서 지난해 144만9000명으로 29.2% 줄었다. 하지만 40대 초반 여성은 같은 기간 168만2000명에서 195만6000명으로 16.3% 늘어났다.
결혼해야 한다는 인식이 적은 점도 이유 중 하나다. 지난해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20대 비중은 35.1%에 그쳤다. 10대(29.1%)를 제외하고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40대 가운데 결혼해야 한다고 답한 이는 42.3%였다.
늦어지는 사회 진출 시첨 등도 만혼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혼인에 대한 가치관 변화가 맞물리면서 여자가 연상인 부부 비중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지난해 초혼 부부 중 여자 연상 부부는 19.4%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늘었다. 초혼 부부 5쌍 중 1쌍은 연상연하인 셈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