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사무금융노조 “금감원장 해임하라…尹 금융 혁신, 선동적이고 위험”
- 은행, 보험, 카드, 증권업계 노조 모여
“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 정상적인 금융시장 방해”

사무금융노조는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전쟁기념관) 앞에서 관치금융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는 윤 정부가 고금리 고통을 완화할 정책 대안 없이 모든 문제를 기존 금융사 탓으로 몰아가는 혐오의 정치가 문제라고 짚었다.
금융당국은 지난 2월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태스크포스(TF)’에 이어 이달 13일에는 ‘금융산업 글로벌화 TF’ 등을 출범하며 은행 과점에 대한 경고장을 놓고 있다. 스몰 라이선스(핀테크 맞춤형 금융업 인허가)를 적극 도입하고, 챌린저 뱅크(소규모 소매은행)를 신설해 금융권의 대출금리를 낮추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노조는 정부가 정작 취약차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언론 플레이’만 한다고 비판했다. 노조를 적폐로 규정하고 금융기관도 혐오 대상으로 만들어 정부의 책임을 피하는 것은 대통령의 자세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이에 노조는 정부에 마구잡이 금융정책을 내놓고 있는 각종 TF를 즉각 해체하고,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을 해임하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의 일관성 부재, 정책 부서들의 엇박자들은 전통적 정부의 역할인 물가 안정과 금융 안정을 담보해내지 못하고 있다”며 “윤 정부의 소위 금융 혁신이 얼마나 선동적이고 위험하며 회복불능한 결과를 몰고 올 것인지 두렵다”고 강조했다.
“尹 ‘은행 공공재’ 발언은 관치금융의 포석”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도 “대선 후보 시절 ‘낙하산은 없다’고 공언한 윤 대통령은 NH농협·우리금융·예금보험공사·한국예탁결제원 등에 자기 사람을 내려보냈다”며 “금융위기가 재발할 조짐이 있는 현 시점에서 일신(一新)하지 않는다면 그 고통은 금융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2금융도 한목소리…“금융업계 종사자 위한 정책은 없어”
여신업계와 보험업계, 그리고 증권업계 또한 연일 이어지는 정부의 금융권 때리기를 비판했다.

김태갑 사무금융노조 생명보험업종본부 본부장은 “생보업계에도 관료 출신 영업설이 계속 나돌고 있다”며 “국가정책이라는 이름으로 관피아·모피아가 금융기관을 압박하고, 금융기관이 다시 이들을 영입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진 사무금융노조 손해보험업지원본부 본부장도 “혁신이라는 미명 아래 계획되고 있는 금융정책에 정작 금융업계 노동자의 고용과 생존을 위한 정책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정부의 잘못된 금융 시그널(신호)은 금융산업을 넘어 경제 전체의 위험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금융위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스위스 크레디트스위스(CS) 파산 사태에도 불구하고 은행 과점 해소 관련 정책을 이어갈 전망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오는 22일 열리는 제4차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TF 실무작업반이 열릴 예정”이라며 “예금 비교·추천 혁신금융서비스의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살펴보고 인터넷전문은행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