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배터리는 ‘도시광산’…“2045년엔 수산화리튬 2만톤, 재활용해 뽑는다”
새 배터리 63만개 생산 가능, 지금 두배 수준
황산망간‧황산코발트‧황산니켈 등 작년 수입량의 수십배
대한상의 “폐배터리는 ‘제2의 원석’”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2045년에는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배터리 핵심원료인 수산화리튬을 2만 톤가량 조달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최근 김유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에게 분석을 의뢰해 23일 발표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의 원료조달 효과성 분석’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이 늘게 되는 2035년 이후에는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핵심원료의 자체 조달분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2045년 기준 수산화리튬은 2만 톤, 황산망간 2.1만 톤, 황산코발트 2.2만 톤, 황산니켈 9.8만 톤가량을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해당원료의 수입량과 비교하면 각각 41배, 25배, 1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보고서는 환경부의 ‘2030년 전기차 보급 목표’를 토대로 2030년까지의 국내 전기차 보급량을 설정하고 그때까지의 추세선을 2040년까지 적용해 폐배터리 발생량을 추정했다고 밝혔다. 국내 보급 전기차의 폐배터리만을 재활용 대상으로 계산하고 배터리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불량품인 스크랩 재활용 및 폐배터리 수출입분은 계산에 넣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연간 재활용될 폐배터리 양을 추정한 결과 2030년 1.8만 톤(4만개), 2035년 9만 톤(18.4만개), 2040년 22.5만 톤(40.6만개), 2045년엔 41.6만 톤(63.9만개)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폐배터리 수출입물량과 스크랩을 얼마나 잘 관리하고 확보하느냐에 따라 폐배터리 재활용의 원료조달 효과성은 달라질 수 있다” 며 “폐배터리 재활용산업은 경제적 효과 뿐 아니라 환경보호와 공급망 안정화, 미국과 EU의 무역규제 대응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고 강조했다.
약 20년 뒤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회수 가능한 수산화리튬 2만 톤은 약 63만개의 NCM811 배터리를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양이다. 배터리 1개 용량을 2030년 이후 주로 보급될 예정인 100kWh로 가정했을 때 63만개의 용량은 63GWh다. 현재 국내 이차전지 생산능력(32GWh)의 2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폐배터리 재활용이 사실상 광산 투자와 비슷하다는 게 보고서 설명이다. 2025년부터 2045년까지 확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순금속 기준의 누적회수량을 연 단위로 환산했을 때 리튬은 2만4000톤, 코발트는 3000톤, 니켈은 1만 4000톤 수준이다. 한국광물자원공사가 2006년 투자했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광산의 연간 코발트 생산량이 4000 톤이고, LG에너지솔루션이 호주 QPM 지분투자로 확보할 예정인 코발트와 니켈이 각각 연 700톤, 7000톤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폐배터리 재활용이 ‘도시광산’의 가치를 갖는다는 것이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전기차 시장이 급성장할수록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핵심원료 회수량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국내 폐배터리 수거·확보 체계를 정비하는 한편,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적극 협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치아에 구멍난다”...치과의사가 뽑은 ‘최악의 술’
2 제주항공 참사 희생자 179명 시신 수습 마무리
3 공수처 “崔대행에 경호처 협조 지휘 재요청”
49급→6급까지 7년, 초고속 승진 1년 만에 팀장 된 ‘충주맨’
5퇴임 앞둔 바이든, 마지막까지 ‘이스라엘’에 무기 판매
6 해경 “신안 가거도 해상서 22명 탑승한 낚싯배 좌초...3명 사망”
712월 세계식량가격, ‘육류’ 제외 모두 하락세
8파루인쇄전자·잉코, ‘CES 2025’서 혁신 기술 대거 공개
9너도나도 ‘돈봉투’...팀 쿡 애플 CEO, 트럼프 취임식에 거액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