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배달 수요' 늘었지만 치킨·피자 매출 하락...커피집만 돈 벌어

외식 가맹점 16만여개...치킨집 3만개 육박
외식업 평균 매출은 하락세...커피 업종만 1.6% 상승

서울 시내의 한 치킨 매장 앞에서 배달라이더들이 음식이 나오길 기다리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코로나19 여파에 배달 수요가 늘며 2021년 외식 가맹점이 2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외식 가맹점은 늘었지만 평균 매출은 하락세를 보였다. 한식과 치킨 등 업종의 평균 매출은 하락했고 커피 업종은 늘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7일 발표한 '2022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외식업 가맹점 수는 16만7455개로 전년 대비 23.9% 증가했다. 이는 2013년 통계 작성 이래(2016년부터 발표) 최대치일 뿐 아니라, 증가율도 역대 가장 높다.

코로나 기간 외식수요는 줄었지만 배달수요가 늘며 창업을 한 외식 가맹점이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외식업종의 경우 한식 업종 가맹점 수는 3만6015개로 21.5%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증가율 역시 39.8%로 가장 높았다.

치킨 가맹점 수는 2만9373개로 13.6% 늘었다. 이어 커피 가맹점은 전년 대비 30% 늘어난 2만3204개로 집계됐다.

하지만 외식 가맹점당 평균 매출은 2억7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4% 하락했다. 커피 업종만이 6% 늘어난 반면 치킨·한식·피자 업종의 경우 각각 2.2%, 6.0%, 6.5% 감소했다.

외식 업종의 개점률은 26.2%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증가했고, 폐점률도 12.6%로 0.4%포인트 늘었다. 특히 한식 업종의 개점률과 폐점률이 각각 35.1%와 14.5%로 가장 높았다.

외식, 서비스, 도소매 등 전체 업종을 아우르는 가맹점 수는 2021년 말 33만5298개로 전년 대비 24.0% 늘었다. 역시 최대 증가폭이다.

서비스업종의 경우 운송업종 가맹점 수가 2만6402개로 2.3배 폭증했다. 카카오T블루(KM솔루션, DGT모빌리티)의 가맹점(개인택시 및 법인) 수가 1만6312개로 가장 많고 우티가 5171개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외국어교육 가맹점수가 1만7232개, 교과교육이 1만674개로 집계됐다. 2021년 서비스업종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약 1.61억원으로 전년 대비 25.8% 증가했으나 주요 업종 가운데 가장 낮았다.

도소매업의 경우 편의점 가맹점 수는 5만2168개로 7.0% 늘었다. 브랜드별로는 CU(1만5669개), GS25(1만5402개), 세븐일레븐(1만900개) 순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

616주 동안 올랐던 기름값…이번 주 떨어지나

7中 ‘트럼프 관세’에 맞대응…”펜타닐은 미국의 문제”

8 中, 트럼프 관세에 "WTO 제소…상응 조치 취할 것"

9 캐나다도 즉각 보복관세…미국산에 25% 부과

실시간 뉴스

1부업으로 '월 1,000만 원'…의료인도 '투잡' 뛰는 정체는 

2美 트럼프 관세 정책에 한국 기업 전전긍긍…산업부 전담팀 24시간 가동

3주택연금 인기 부활 이유 살펴봤더니…

4여교사에 성적 수치심 유발…소송까지 간 중학생, 결과는

5세계는 ‘딥시크’ 충격, 개발 비용 두고 설왕설래…557만달러 vs 5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