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배민이 제일 많이 가져가네”…간편결제 수수료율 공시 시작

선불결제·카드결제 수수료율 모두 배민페이가 가장 높아
금감원 “네이버·카카오·토스 등 빅테크 3사, 수수료 인하 효과”

[제공 배달의민족]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대형 온라인 간편결제 사업자의 수수료율 공시 제도가 오늘(31일)부터 시행된다. 공시 결과, 배민페이(우아한형제들)의 선불결제 수수료율이 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날 공시 대상인 9개 업체의 선불결제 수수료율은 평균 2.00∼2.23%로 나타났다. 이들 업체의 카드결제 수수료율은 평균 1.09∼2.39%였다.

공시 대상 업체는 간편결제 규모가 월평균 1000억원 이상인 업체다. 네이버페이(네이버파이낸셜), 쿠페이(쿠팡페이), 카카오페이, 스마일페이(G마켓), SK페이(11번가), 배민페이(우아한형제들), 페이코(NHN페이코), SSG페이(SSG닷컴), 토스페이(비바리퍼블리카) 등이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선불결제 수수료율은 배민페이가 3%로 가장 높았다. 쿠페이와 SSG페이는 2.5%, 스마일페이와 SK페이는 각각 2.49%, 2%의 선불결제 수수료율을 공시했다.

나머지 업체들은 단일 수수료율이 아니라 가맹점 규모에 따라 수수료율을 차등 적용하는 방식으로 운영 중이다. 업계 1위인 네이버페이는 0.91(영세)~2.17(일반)%의 구간으로 수취했다. 카카오페이는 1.66~2.08%, 페이코는 1.71~2.25%, 토스페이는 1.01~2.44%의 선불결제 수수료율을 공시했다.

카드결제의 경우 모든 업체들이 가맹점 규모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수료율을 매겼다. 카드결제에서도 배민페이가 1.52~3%로 상단과 하단 모두 가장 높았다. SK페이가 1.3~2.9%로 뒤를 이었다. 그밖에 네이버페이 0.84~2.18%, 쿠페이 1.03~2.5%, 카카오페이 1.01~1.4%, 스마일페이 1.08~2.59%, 페이코 0.87~2.28%, SSG페이 0.95~2.59%, 토스페이 0.97~2.09%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그간 온라인 간편결제 관련 정보가 부족해 소상공인들이 협상 과정에서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부담을 느낀다는 지적 등을 반영해 지난해 12월 간편결제 수수료 공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앞으로 공시 대상 업체는 매 반기 말로부터 1개월 이내에 각 사 홈페이지에 수수료율을 공시해야 한다.

특히 금감원은 이번 수수료율 공시 제도 시행에 따라 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비바리퍼블리카(토스) 등 빅테크 3사의 수수료율이 지난해 대비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난 점을 강조했다. 지난해 2.02%였던 빅테크 3사의 선불결제 수수료율 평균은 0.29%포인트(p) 하락한 1.73% 수준을 나타냈다. 신용카드 기반 간편결제 수수료율은 기존 1.95%보다 0.49%p 내린 1.46%가 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어려워진 경제 상황을 고려해 그간 업계에서 소상공인 부담을 완화하고자 수수료율 인하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금감원은 이번 공시 시행으로 간편결제 사업자 간 자율적인 경쟁이 촉진되면서 시장의 가격 결정 기능에 기반해 합리적인 수수료가 책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맹점 입장에서는 수수료와 관련한 정보 비대칭성이 완화돼 수수료 부담을 점진적으로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 포항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지원 프로그램 운영

2경주시, APEC 개최도시로 선정... 경제적 파급효과 2조

3서계동, 최고 39층 주거단지…공덕·청파동까지 7000세대 탈바꿈

4‘구직 의욕 상실’ 청년들 다시 늘었다…“그냥 쉬어요”

5 한동훈, 당대표 출마 선언…“용기 내어 헌신하기로 결심”

6‘미수금 13조’ 가스공사 재무위기…도시가스 7월 인상할까

7 나경원, 국힘 당 대표 출마 “계파·사심 없는 내가 적임자”

8‘출산율 감소 걱정’ 머스크, 회사 임원과 3번째 아이 또 출산

9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실시간 뉴스

1애플, 포항서 "스마트 팩토리 구축" 지원 프로그램 운영

2경주시, APEC 개최도시로 선정... 경제적 파급효과 2조

3서계동, 최고 39층 주거단지…공덕·청파동까지 7000세대 탈바꿈

4‘구직 의욕 상실’ 청년들 다시 늘었다…“그냥 쉬어요”

5 한동훈, 당대표 출마 선언…“용기 내어 헌신하기로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