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증권사 부동산PF 위기 안정화…캐피탈사 리스크는 여전”
- 한신평, 부동산PF 리스크 점검 웨비나
작년 4분기 대비 위기 안정화 추세
상반기 브릿지론 대규모 만기 우려

한국신용평가는 3일 ‘금융업권 부동산 PF 리스크 점검’을 주제로 웨비나를 열고 이같이 분석했다. 한신평은 “신용등급 A1 증권사의 자체발행 및 PF유동화 단기사채의 유통금리가 하향 안정화됐다”며 “최근 PF 유동화증권 시장은 작년 4분기(10월~12월)에 급박했던 상황에 비해서는 다소 안정을 찾았다”고 평가했다.
증권사의 유동성 위기가 진정됐지만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다고 한신평은 짚었다. 한신평에 따르면 국내 주택 미분양 물량은 지난 1월 말 기준 7만5000호로 빠르게 늘고 있다. 매매가격 대비 분양가격의 메리트가 낮아지고, 이자 부담에 전세값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점도 불확실성 요인으로 꼽혔다.
이런 상황에서 증권업계에서 ‘브릿지론 부실화’ 가능성이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PF은 14조원 규모로 이중 58%(8조2000억원)가 브릿지론이고 그중에서도 약 6조4000억원의 브릿지론 만기가 상반기 안에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한신평은 “증권사들의 조정 영업용순자본비율의 저하 폭 등을 감안할 때 대체로 자본력 안에서 부동산PF 부실화 문제를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캐피탈사의 경우 부동산 금융 리스크가 여전히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업체 간 신용등급에 따라 부동산 위험 격차도 컸다.
한신평은 “캐피탈사의 평균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 금융자산의 부담 비율이 AA-급은 0.9배인 반면 A급 이하는 1.5배로 신용등급 간 차별화를 보였다”며 “브릿지론의 경우 신용등급별 자기자본 대비 비율이 AA-급은 0.2배에 그쳤으나 A급 이하는 0.7배로 차이가 상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와 같은 럼 주택경기 위축 국면에서는 (브릿지론의) 본PF 전환 여부도 장담하기 어렵다”며 “이에 따른 부실화 리스크나 자산건전성 지표에서 신용등급별 격차가 가시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별세…향년 81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별세…향년 81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마카오 보내준다고?”…'경품성지' 입소문에 핫해진 코엑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