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연구자 임상 국제학술지 게재”
간암 환자 83명 대상으로 진행

이번 임상은 중국 윈저우 의과대학 연구팀이 진행성 1차 간암 환자 8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42명의 환자(A군)는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나머지 41명의 환자(B군)는 소라페닙을 투여했다. 소라페닙은 대표적인 간암 치료제다.
임상 결과 A군에 속한 환자들의 무진행생존기간(PFS)이 B군 환자들보다 길었다. 객관적반응률(ORR)은 A군이 69.05%, B군이 53.66%였다. 질병통제율(DCR)은 A군이 88.10%, B군이 70.73%로 나타났다.
종양표지자도 A군이 B군보다 좋은 수치를 보였다. 종양표지자는 종양세포로 인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암세포의 유무와 크기 등을 확인할 때 쓰인다. 종양표지자 중 알파태아단백(AFP)과 암항원199(CA199), 암배아항원(CEA) 등은 수치가 크게 줄었다. CD3+와 CD4+, CD8+ 등 면역 작용에 관여하는 T세포는 늘었다.
부작용에 대해선 A군과 B군이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LB 관계자는 “리보세라닙은 암의 신생 혈관 생성을 억제해 저산소 환경을 개선한다”며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의 분비를 촉진해 암미세환경 내 면역을 활성화시킨다”고 했다.
또한 “이번 임상은 윈저우 의과대학이 진행한 것으로 HLB가 관여하진 않았다”며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요법은 간암 1차 치료제로 글로벌 3상 임상에서 전체생존기간(mOS)이 역대 최대치인 22.1개월로 나타났으며 올해 5월을 목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품목허가를 신청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