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메일 함부로 열지 마세요”…악성코드 ‘칵봇’ 주의보

악성코드 이용한 ‘이메일 하이재킹’ 유행
“출처 불문명 이메일은 열람 자제해야”

안랩에 따르면 악성 코드인 ‘칵봇’(Qakbot)이 이메일 하이재킹 수법을 통해 국내 사용자에게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안랩 블로그 캡처]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원본 이메일에 대한 답장 또는 전달한 이메일인 것처럼 속여 악성 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포착돼 주의가 요구된다.

16일 안랩에 따르면 악성 코드인 ‘칵봇’(Qakbot)이 이메일 하이재킹 수법을 통해 국내 사용자에게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칵봇은 은행 자격 증명, 윈도우 도메인 자격 증명을 훔치고, 랜섬웨어를 설치하는 공격자들에게 원격 접속을 제공하는 윈도우 악성 코드다.

이번에 발견된 칵봇 유포 수법은 기존에 수신된 정상 이메일을 가로채 본문에 악성 PDF 파일을 첨부한 다음 사용자에게 회신하거나 전달하는 방식이다. 공격 대상은 원본 이메일의 수신자와 참조자다.

해커들은 회신 메일을 보내 수신자가 첨부된 PDF 파일을 열어보도록 유도한다. PDF 파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애저(Azure)’ 로고와 함께 ‘오픈’ 버튼의 클릭을 유도하는 문구가 적혀있다. 이를 클릭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되도록하는 인터넷주소(URL)로 연결된다.

안랩은 “원본 이메일이 오간 시점은 2018∼2022년으로 매우 다양하지만 원본 이메일의 발송 시점이 올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다수 악성 메일이 이번 사례와 유사한 형태로 유포되고 있어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은 가급적 열람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최상목 대행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철저히 조사하라”

2"쿠팡에서 장봐요"…소비자 10명 중 7명 이용

3 최상목 "대전 초등생 사망사건 깊은 애도…철저히 조사"

4사모펀드 도입 20년...시장 ‘메기’인가 vs ‘약탈’인가

5우려커진 적대적 M&A...해외는 어떻게 방어하나

6뉴욕증시, 트럼프 추가 관세 예고에도 강세 마감…나스닥 1%↑

7 "가자 인질 석방 없으면 휴전 취소"...트럼프 15일 낮 12시까지 기한 통보

8뉴욕유가, 러 원유생산 목표치 미달에 WTI, 1.9%↑

9올해 글로벌 ESG 본격화…기업 전략 수립 적극 나서야

실시간 뉴스

1최상목 대행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철저히 조사하라”

2"쿠팡에서 장봐요"…소비자 10명 중 7명 이용

3 최상목 "대전 초등생 사망사건 깊은 애도…철저히 조사"

4사모펀드 도입 20년...시장 ‘메기’인가 vs ‘약탈’인가

5우려커진 적대적 M&A...해외는 어떻게 방어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