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노바이오, 프리 IPO로 126억 유치…“연내 코스닥 상장 목표”
롯데바이오·안국약품 등 SI로 참여
![](/data/ecn/image/2023/04/21/ecn20230421000043.600x.0.png)
이번 투자 유치에는 기존 투자자였던 IMM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트먼트가 후속 투자를 단행했다. BNH인베스트먼트와 유니온투자파트너스, 쿼드자산운용 등 제약·바이오 기업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사는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안국약품은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시러큐스 공장을 인수하며 ADC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한다고 선언한 만큼 피노바이오와 ADC 제조공정(CMC)과 생산에서 협력할 계획이다.
안국약품은 지난해 피노바이오와 ADC 항암제를 함께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피노바이오의 전략적 투자자는 이밖에도 에스티팜과 셀트리온 등이 있다.
피노바이오는 2017년 2월 설립됐다. ADC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캠토테신 계열의 약물(페이로드)과 링커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셀트리온과 1조7000억원 규모의 ADC 플랫폼 사용실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ADC 파이프라인으로는 Trop2 표적 ADC ‘PBX-001’이 있다. PBX-001은 동물 모델 실험에서 경쟁 제품인 트로델비보다 높은 효능과 안전성을 보였다. 회사는 해당 연구 결과를 올해 영국 런던에서 열린 월드 ADC 2023에서 발표했다. 내년 중 임상 단계에 진입한다는 목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검은사막에서 엿볼 수 있는 차기작 ‘붉은사막’의 모습은?
2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3‘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4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5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6“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7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8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9“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