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먹방‧쿡방’ 자주 볼수록…아침 거르고 야식 섭취 ↑
- 질병관리청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청소년 60%는 “식습관 영향 X” 응답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먹방(먹는 방송)’과 ‘쿡방(요리 방송)’을 즐겨보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아침을 거르거나 야식 섭취 등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을 더 많이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작년 전국 800개교 중고생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한 2022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서 응답 청소년 10명 중 4명이 최소 일주일에 1회 이상 먹방이나 쿡방을 시청한다고 답했다.
주 1∼2번 본다는 응답 비율은 17.5%, 주 3∼4번은 11.3%였다. 매일 본다는 중고생도 8.3%였다. 전혀 보지 않는다는 응답은 29.4%였고, 한 달에 1번 이상이 18.3%였다.
대체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먹방·쿡방을 즐겨봤다.
먹방·쿡방을 보는 학생과 전혀 보지 않는 학생들의 식습관을 비교해보면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먹방과 쿡방을 보는 중고생들의 아침 결식률(주 5회 이상)은 40.7%로, 보지 않는 학생들(35.0%)보다 높았다. 야식 섭취율도 먹방과 쿡방 시청 청소년들(24.2%)이 비시청 청소년(21.9%) 청소년보다 높았다.
주 3회 이상 패스트푸드·단맛 음료·고카페인 음료를 섭취하는 학생들의 비율도 먹방·쿡방 시청 그룹에서 각각 29.1%, 65.4%, 22.6%로 나타났다. 보지 않는 그룹은 22.9%, 59.3%, 21.7%를 기록했다.
반면 건강한 식습관의 지표인 과일(일 1회 이상), 채소(일 3회 이상), 우유(일 1회 이상) 섭취율은 먹방·쿡방을 보지 않는 청소년 그룹에서 더 높았다.
또한 먹방·쿡방을 보는 학생들을 시청 빈도에 따라 나눠봤을 때도 가장 많이 보는 청소년들(주 5∼7회씩)이 야식이나 패스트푸드·단맛 음료·고카페인 음료 섭취율이 높고, 아침은 더 많이 굶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과일·채소·우유 섭취율은 시청 빈도와 크게 상관이 없거나 시청시간이 긴 그룹에서 더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먹방·쿡방 시청이 자신의 식사 습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60.9%의 청소년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나 시청 후 ▲따라 먹거나 따라 조리하기(21.4%) ▲간식이나 야식 먹기(7.0%) ▲자극적으로 먹기(4.6%) ▲많이 먹기(3.8%)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도 있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석달 일하고 “사표 낸다”는 日 청년들…“옮기면 임금 뛴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故 최진실 딸 최준희, '이것' 물고..팬들은 걱정,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49.2%, 김문수 36.8%, 이준석 10.3%[리얼미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일진그룹, 미래 먹거리 수소사업 빨간불…가동률 30%대로 추락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분석 단가 1/4? 저커버그가 꽂힌 소마젠, 빌리언셀’ 수주 쓸어 담아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