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집값 바닥 다졌나…서울 집값 3개월 연속 낙폭 줄어

전국적으로 매매·전셋값 낙폭 감소
매매가 전망 지수도 상승세

서울 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윤주 기자] 서울 주택가격 하락 폭이 3개월 연속 줄었다. 급매물이 팔리고 일부 지역에서 호가가 오른 영향이다.

23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4월(10일 조사 기준) 서울 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단독주택 포함) 평균 매매가는 전월 대비 0.55% 하락했다.

서울 주택 매매가는 올해 1월 1.19% 떨어진 이후 2월(-0.67%), 3월(-0.65%)에 이어 4월까지 3개월 연속 낙폭이 줄어들었다. 

4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97% 하락하며 3개월 연속 낙폭이 감소했다. 연립주택과 단독주택은 각각 0.05%, 0.02% 하락했다.

경기(-1.25% → -1.23%)와 인천(-1.36% → -1.01%)의 주택 매매가도 모두 낙폭이 줄었다. 수도권은 0.95% 하락했다.

5대 광역시(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에서도 전월(-0.82%)보다 낙폭이 감소해 0.79% 하락했다. 기타 지방(세종시와 8개도)은 0.44%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국 주택 매매가는 0.78% 떨어져 전월(-0.83%)보다 낙폭이 줄었다.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88.88로 지난달(88.92)보다 하락했다. 이 지수는 작년 9월부터 8개월째 100선을 밑돌고 있다. 다만 지수 증감률은 전월(-0.45%) 대비 하락 폭이 -0.04%로 줄며 보합권에 진입했다.

선도아파트 지수는 전국 아파트 단지 가운데 가구 수와 매매가를 곱한 상위 50개 단지의 시가총액 변동률을 수치화한 것이다. 이는 가격 변동의 영향을 가장 민감하게 보여주는 지표다.

전국 주택 전셋값은 이달 0.71% 하락했다. 서울(-0.72%), 인천(-0.95%), 경기(-0.93%) 모두 하락했으나, 지난달보다 낙폭은 줄어 수도권(-1.15% → -0.86%) 내림 폭도 작아졌다.

지방 주택 전셋값도 모두 하락했지만 낙폭은 둔화했다. 5대 광역시는 0.78% 떨어졌고, 기타 지방은 0.40% 하락했다.

매매가격과 전세가 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올랐지만, 여전히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전국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 80에서 이달 85로 상승했다.

KB부동산 가격 전망지수는 전국 6000여개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해당 지역 집값의 상승·하락 전망을 조사해 0∼200 범위로 수치화한 것이다. 100을 초과할수록 2∼3개월 후 가격이 상승한다는 전망이 높다는 의미다. 100 미만이면 하락 전망이 우세하다는 것을 뜻한다. 

서울의 매매가 전망지수는 지난달 78에서 83으로 올랐고, 경기(82→88), 인천(80→86)도 모두 상승했다. 특히 세종은 지난달 105에서 이달 106으로 상승하면서 전국에서 유일하게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보다 우세했다. 

전국 전셋값 전망지수는 83에서 87로 상승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

6미· 중 관세 전쟁 서막...中 “모든 美 수입품 34% 관세 부과

7美 증시 급락에도…월가 전략가 “지금이 매수 기회”

8'탄핵 인용' 90% 예견한 챗GPT... 일명 '지(G) 선생' 근거 살펴보니

9"오바마가 왜 여기서 나와" 벚꽃사진 찍다 생긴 일

실시간 뉴스

1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2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3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4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5자신만만 트럼프, 상호관세 이후 "호황 누릴 것"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