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4대 금융 1Q 실적, ‘충당금 변수’ 얼마나 작용할까

당국 ‘충당금’ 압박, 1분기 실적 변동 키(KEY)
충당금 2배 더 쌓은 우리금융…타 금융지주도 비슷할 듯

4대 금융지주 로고가 본점에 각각 걸려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계속된 예대마진 축소와 시장 금리 하락으로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실적이 전년보다는 부진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정부 압박으로 올 초부터 은행권 충당금 부담이 커져 당장 올 1분기 금융지주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1Q 충당금 껑충…순익 감소 전망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는 정부 요청으로 올해 충당금 비중을 더 보수적으로 운용한다. 지난 2월 윤석열 대통령은 은행권에 “수익이 좋은 시기, 충당금을 충분히 쌓아두라”고 지시한 바 있다. 이후 금융당국은 정부 기조에 발맞춰 은행권에 충당금 산정을 더 보수적으로 해달라고 권고해왔다. 

충당금은 채권 중 기말까지 회수하지 못해 미회수액으로 남아 있는 것에 대해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정하는 계정을 말한다. 2020년 4월부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상대로 시행돼 온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는 3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금융지원 조치 해제 시 수면 아래 억눌려 온 부실이 한꺼번에 터져 나올 수 있어 은행권에 충분히 돈을 쌓아두라고 권고하고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등 유동성 부실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비하라는 측면도 있다.

당장 우리금융은 올 1분기부터 지난해 대비 2배 가량 충당금을 늘렸다. 지난 24일 실적을 발표한 우리금융의 올 1분기 충당금은 2614억원으로 전년 동기(1661억원) 대비 57.4% 상승했다. 

대체로 금융사들의 충당금은 산정 과정에 따라 연초에는 낮다가 연말로 갈수록 금액이 상승한다. 하지만 우리금융의 충당금은 올 1분기부터 지난해 연말 수준으로 높다. 지난해 4분기 우리금융의 충당금은 2632억원으로 올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이다. 

올 1분기 우리금융은 9113억원의 순익을 기록하며 역대 1분기 최고 실적을 냈다. 견고한 이자이익 덕분에 충당금이 크게 늘었음에도 호실적을 냈다. 다만 향후에도 1분기와 비슷한 충당금을 꾸준히 부담해야 할 경우 실적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다. 또 올해는 시장 금리 하락 및 예대마진 축소 등으로 순이자마진(NIM) 하락도 예상된다. 

이번주 1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다른 금융지주사들의 사정도 비슷할 수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신한·우리·하나금융 등 4대 금융지주사의 올 1분기 순이익은 4조591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해 이어진 은행들의 NIM 상승세가 올해 꺾이는 것과 함께 당국의 충당금 압박이 커지며 당장 올 1분기 순익이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실제로 에프앤가이드는 KB금융과 신한지주의 1분기 순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7.8% 감소한 1조4020억원, 1조3095억원으로 전망했다. 

다만 이 같은 금융지주사들의 충당금 쌓기가 꼭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시각도 있다. 지난해 16조원 수준의 순익을 낸 4대 금융은 ′지나친 이자 장사’라는 비판으로 당국의 눈치를 받아왔다. 이에 최근 사회환원 사업을 대폭 늘리는 등 당국 기조 맞추기에 한창이다. 

올 1분기 또 다시 역대급 실적을 낼 경우 지난해와 유사한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 올 1분기 우리금융은 1분기 기준 최고 실적을 냈지만 배포자료에 이런 부분을 특별히 강조하지 않았다. 성과를 과시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충당금은 회계상 손실로 잡히지만 활용되지 않으면 장부상 다시 환입될 여지가 있다”며 “금융지주사들도 올 1분기 충당금을 예년보다 많이 쌓아 어느 정도 순익을 조절해 ′돈잔치 비난’을 피해 가려고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

6손정의 “인간보다 1만배 똑똑한 AI 시대 온다”

7이노그리드, 초유의 ‘상장 승인 취소’…“파두 사태와는 또 다르다”

8연타석 홈런 친 넷마블…하반기에도 신작 러시

9Life’s Good!…LG전자 브랜드 가치, 세계에 ‘미소’ 전파

실시간 뉴스

1‘킹산직’ 500명 추가 채용 제안...노조 달래는 현대차

2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투쟁 방식 전환”

33분기 전기요금 인하 없다...연료비조정단가 현행 유지

4제2의 도약 꿈꾸는 아워홈...기업공개 추진한다

5최태원 SK 회장, 내일 미국행...AI·반도체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