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한화 “공정위 조건부 승인 수용…5월 인수 마무리”
- “지속 가능 해양 에너지 생태계 개척 혁신 기업 목표”

한화그룹은 5월 중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참여, 주주총회를 통한 이사 선임 절차 등을 거쳐 신속히 인수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5월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임팩트파트너스, 한화에너지 자회사 두 곳 등 한화그룹 5개사는 2조원 규모의 대우조선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이를 통해 대우조선 지분 49.3%를 확보해 최대주주에 오른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은 2001년 워크아웃을 졸업한 이후 약 22년 만에 경영 정상화 닻을 올리게 됐다.
한화는 그룹의 핵심 역량과 대우조선이 보유한 글로벌 수준의 설계·생산 능력을 결합해 대우조선의 조기 경영 정상화는 물론 지속 가능한 해양 에너지 생태계를 개척하는 ‘글로벌 혁신 기업’으로 성장시킨다는 목표다. 또한 단순한 이익 창출을 넘어 일자리 창출, K-방산 수출 확대 등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일조할 계획이다. 조선업의 장기간 업황 부진으로 침체된 거제 지역 경제에도 활력이 돌 것으로 기대된다.
“대승적 차원에서 조건부 승인 수용”
한화 측은 “방산 부문 시정 조치로 인한 경영상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대우조선 인수 결정에는 대승적 결단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경영 정상화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판단 아래, 기간산업 재건과 K-방산의 글로벌 공략을 위해 경영 실적 리스크와 당국의 시정 조치를 감수하면서 대우조선 인수 결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가 추진된 이후에도 대우조선 경영 상황은 지속 악화돼왔다. 최근 2년간 적자 규모는 3조4000억원에 달하고, 부채비율은 1600%에 이르는 상황이다.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수혈이 절실했다는 것이다.
국내 조선 3사 중 유일하게 1분기 영업손실이 예상되는데, 1분기 적자를 기록하면 2020년 4분기 이후 10분 연속 적자를 이어가는 것이다. 조선업 사이클 상승기에도 수주 실적도 저조한 상황이다. 지난해 1분기 수주 금액은 42억 달러였는데, 올해는 8억 달러로 급감했다. 핵심 인력 유출 및 인력난도 심각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에만 160명이 넘는 직원들이 경쟁사로 이직했다. 실무 업무의 주축인 대리 및 과장급과 특수선 설계 인력이 유출된 것이 뼈아프다. 10년 전 1만3000명에 달했던 대우조선 임직원은 지난해 말 8300명으로 감소했다. 이 같은 경영 악화를 빠르게 정상화하기 위해 공정위 조건부 승인을 수용했다는 게 한화 측의 설명이다.
한화는 대우조선 인수를 계기로 기존 우주, 지상 방산에 더해 해양까지 아우르는 ‘육해공 통합 시스템’을 갖추게 됐다. 글로벌 방산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 셈이다. 한화는 “기후 위기와 에너지 안보에 대한 이슈로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이 빨라지는 시점에서 대우조선의 조선, 해양 기술을 통해 ‘글로벌 그린 에너지 메이저’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