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신원근 카카오페이 대표 “대환대출 플랫폼, 우위 점하겠다” [컨콜]
- “대환대출 수요는 언제나 존재했어”
“대출 비교 서비스 운영 경험 활용할 것”

신 대표는 대출 사업 전망을 묻는 질문에 “올해 들어 부동산 시장과 이와 관련된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작년 대비 금융 규제가 점차 완화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여전히 2금융권 중심으로 연체율 및 부실자산 증가로 자산 건전성 관리 이슈가 커지면서 올해도 하반기 이후의 공급 축소 가능성은 존재한다”면서도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라는 새로운 기회 역시 열릴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현재 신용대출 잔액 규모는 370조원 규모로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신규 대출 취급이 제한되고 있다. 하지만 신 대표는 “대출 시장 내 대환대출에 대한 소비자 수요는 항상 존재해 왔다”며 “특히 정부 주도 대환대출 사업의 특성상 일반적인 신규 대출 대비 실행액 규모가 크고 거래 건수도 신규 대출 대비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경쟁 플랫폼 및 금융사들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면서 대출 비교 서비스 시장 내 경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신 대표는 전망했다. 그는 “이 경쟁은 한편으로 보면 각사별 차별화된 경쟁력이 부각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대환대출 플랫폼은 플랫폼과 제휴사 간 개별 계약 연동 개발이 필요하고 금융사에서는 기존의 제휴 규모에 따라서 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할 것”이라며 “따라서 카카오페이는 대출 비교 서비스 운영 경험, 기술력, 제휴력을 바탕으로 대환대출 플랫폼으로서 대환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외형과 매출 확대의 기회로 활용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올해 5월 개시 예정인 대환대출 플랫폼은 신용대출 대상으로 먼저 출시된다. 53개의 금융회사와 23개 대출 비교 플랫폼이 참여할 계획이다. 19곳의 은행과 저축은행 18곳, 카드 7곳, 캐피탈 9곳 등 비은행권 주요 금융회사의 신용대출을 다른 대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단독] CG인바이츠 최대주주, 美 괌 최대병원 인수계약 체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로제, K팝 최초 MTV VMA ‘올해의 노래’ 수상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현대 사건 계기로 외국기업 美이민법 존중해야”(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BBB급 케이카캐피탈, 회사채 시장 데뷔전 나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한가’ 엘앤씨바이오 “CAPA 문제없어…리투오 품귀, 곧 해소”[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