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요양원’도 도시가 대세...프리미엄 요양시설이 뜬다
[고급 실버타운의 부활] ③ 도심 속 요양센터 인기
‘노후보장 사업 연계’ 보험사, 시장 진출 노려
서울·수도권 부지 찾기는 “쉽지 않네”
[이코노미스트 김정훈 기자] 흔히 요양원하면 지방 변두리 지역을 떠올리기 십상이다. 공기가 좋은 자연 속에서 생활할 수 있고 안정적인 시설 인프라를 갖추려면 넓은 부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요양 수요자들이 도시생활을 선호하다보니 시골이 아닌 도심 속 고급 요양센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이와 관련 헬스케어 사업에 관심이 많은 보험사가 이 시장에 진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부지 이용 규제 등에 막혀 아직 보험사들의 시장 진출이 활발한 편은 아니다. 향후 보험사가 운영하는 도심 속 프리미엄 요양시설이 활성화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도심 속 프리미엄센터, 수요는 ‘확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은 40조4347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총 진료비 대비 65세 이상 진료비 비중은 2017년 39.1%에서 2021년 42.3%로 증가했다. 갈수록 60대 이상의 요양급여, 진료비가 증가하며 이 시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오는 2024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명, 2050년에는 19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늘어나는 고령층 인구수에 발맞춘 시니어케어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시니어케어에는 대표적으로 실버타운과 장기요양시설 입주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실버타운은 노후 관련 의료, 복지 등 인프라가 갖춰진 곳에서 고령층끼리 생활하는 곳을 말한다. 반면 요양시설은 혼자서 거동이 어렵거나 보조인의 도움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고령층이 입주한다.
실버타운은 민간건설업체들이 활발히 참여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요양원은 주로 지자체나 정부가 설립하는 공공시설이 많다. 다만 몇년 전부터 보험업계가 헬스케어 사업 확대 차원에서 고급 요양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최근 일부 보험사가 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가장 발 빠르게 나선 것은 KB손해보험이다. 2016년 11월 금융업계 최초로 요양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를 설립하고 2017년에 주야간보호시설인 ‘강동케어센터’를 오픈한 이후 2019년과 2021년에 각각 프리미엄 노인요양센터인 ‘위례빌리지’와 ‘서초빌리지’를 선보였다.
위례빌리지는 개소 1년 만에 입소 대기자만 1300여명을 넘어섰고, 서초빌리지 또한 정원 80명인 시설에 오픈 전 사전접수에만 신청자 300여명이 몰리는 등 관심이 뜨거웠다.
요양센터는 장기요양등급 조건을 갖춘 고령층만 입주신청이 가능하다. 정부에서 장기요양보험금을 요양등급별로 최대 85%까지 지원해준다. 입주자들은 비급여 부문인 15%만 내면 되는 셈이다. KB서초빌리지의 월 부담금은 대체로 월 200만~3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KB손보는 올 연말을 목표로 은평구에 3번째 프리미엄 요양센터 오픈을 준비 중이다. 이미 두 곳의 요양센터가 큰 호응을 얻은 만큼 은평구 지역 센터도 높은 관심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KB골든라이프케어 관계자는 “요양시설이 충분하다면 요양원 연계 보험상품을 출시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용료가 부담스러운 고객을 위해 부동산과 보험 등으로 자산을 유동화하는 서비스도 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토지 문제 걸림돌...사업 진출 한계
이처럼 도심 속 요양서비스는 보험과 접목할 수 있는 헬스케어 사업이지만 국내 보험사들의 시장 참여는 초기 상태다. 현행법상 30인 이상 요양시설의 경우 사업자가 직접 토지와 건물을 소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토지 매입을 위한 금융비용까지 고려하면 업체당 100억원 이상의 초기비용이 들어가 보험사 입장에서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건물까지 세우면 비용은 더 추가된다.
최근 신한라이프 역시 이 시장에 관심을 갖고 진출을 준비 중이지만, 이런 이유로 서울과 수도권 인근 부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아직 서울과 수도권 인근에서 괜찮은 부지를 선정하지 못한 상태”라며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은 아니어서 부지 선정에 있어서도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요양업계 관계자는 “요양사업은 사업자가 토지와 건물을 모두 소유해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편”이라며 “하지만 서울과 수도권 내에서 센터를 지을만한 부지를 찾기 쉽지 않고 토지 가격도 비싸다는 점이 진입 장벽”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되자 정부는 지난해 요양센터 설립과 관련해 공공부지 임대 및 폐교 활용을 허용해줬다. 하지만 쓸만한 공공부지와 폐교는 주로 도시 외곽이나 시골 변두리에 위치해 있어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
보험업계에서는 책임임대차와 위탁운영을 허용해 민간자본 참여를 유도하면 지속적으로 요양시설 인프라 확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추가로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부여해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 요양서비스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서울과 수도권, 지방 대도시 등 수요가 몰리는 곳의 공급은 터무니없이 부족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요양산업에 보험사 등 대기업이 진출한다면 이 같은 공급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와 관련 헬스케어 사업에 관심이 많은 보험사가 이 시장에 진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다만 부지 이용 규제 등에 막혀 아직 보험사들의 시장 진출이 활발한 편은 아니다. 향후 보험사가 운영하는 도심 속 프리미엄 요양시설이 활성화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도심 속 프리미엄센터, 수요는 ‘확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진료비 통계지표’에 따르면 2021년 65세 이상에 지급된 요양급여비용은 40조4347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했다. 총 진료비 대비 65세 이상 진료비 비중은 2017년 39.1%에서 2021년 42.3%로 증가했다. 갈수록 60대 이상의 요양급여, 진료비가 증가하며 이 시장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오는 2024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명, 2050년에는 19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늘어나는 고령층 인구수에 발맞춘 시니어케어서비스가 필요한 시점이다.
시니어케어에는 대표적으로 실버타운과 장기요양시설 입주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실버타운은 노후 관련 의료, 복지 등 인프라가 갖춰진 곳에서 고령층끼리 생활하는 곳을 말한다. 반면 요양시설은 혼자서 거동이 어렵거나 보조인의 도움으로 장기요양이 필요한 고령층이 입주한다.
실버타운은 민간건설업체들이 활발히 참여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요양원은 주로 지자체나 정부가 설립하는 공공시설이 많다. 다만 몇년 전부터 보험업계가 헬스케어 사업 확대 차원에서 고급 요양서비스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최근 일부 보험사가 시장에 진출한 상태다.
가장 발 빠르게 나선 것은 KB손해보험이다. 2016년 11월 금융업계 최초로 요양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를 설립하고 2017년에 주야간보호시설인 ‘강동케어센터’를 오픈한 이후 2019년과 2021년에 각각 프리미엄 노인요양센터인 ‘위례빌리지’와 ‘서초빌리지’를 선보였다.
위례빌리지는 개소 1년 만에 입소 대기자만 1300여명을 넘어섰고, 서초빌리지 또한 정원 80명인 시설에 오픈 전 사전접수에만 신청자 300여명이 몰리는 등 관심이 뜨거웠다.
요양센터는 장기요양등급 조건을 갖춘 고령층만 입주신청이 가능하다. 정부에서 장기요양보험금을 요양등급별로 최대 85%까지 지원해준다. 입주자들은 비급여 부문인 15%만 내면 되는 셈이다. KB서초빌리지의 월 부담금은 대체로 월 200만~300만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KB손보는 올 연말을 목표로 은평구에 3번째 프리미엄 요양센터 오픈을 준비 중이다. 이미 두 곳의 요양센터가 큰 호응을 얻은 만큼 은평구 지역 센터도 높은 관심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KB골든라이프케어 관계자는 “요양시설이 충분하다면 요양원 연계 보험상품을 출시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용료가 부담스러운 고객을 위해 부동산과 보험 등으로 자산을 유동화하는 서비스도 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토지 문제 걸림돌...사업 진출 한계
이처럼 도심 속 요양서비스는 보험과 접목할 수 있는 헬스케어 사업이지만 국내 보험사들의 시장 참여는 초기 상태다. 현행법상 30인 이상 요양시설의 경우 사업자가 직접 토지와 건물을 소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토지 매입을 위한 금융비용까지 고려하면 업체당 100억원 이상의 초기비용이 들어가 보험사 입장에서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또한 건물까지 세우면 비용은 더 추가된다.
최근 신한라이프 역시 이 시장에 관심을 갖고 진출을 준비 중이지만, 이런 이유로 서울과 수도권 인근 부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아직 서울과 수도권 인근에서 괜찮은 부지를 선정하지 못한 상태”라며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은 아니어서 부지 선정에 있어서도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요양업계 관계자는 “요양사업은 사업자가 토지와 건물을 모두 소유해 사업의 지속성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편”이라며 “하지만 서울과 수도권 내에서 센터를 지을만한 부지를 찾기 쉽지 않고 토지 가격도 비싸다는 점이 진입 장벽”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문제가 지적되자 정부는 지난해 요양센터 설립과 관련해 공공부지 임대 및 폐교 활용을 허용해줬다. 하지만 쓸만한 공공부지와 폐교는 주로 도시 외곽이나 시골 변두리에 위치해 있어 큰 도움은 되지 못하고 있다.
보험업계에서는 책임임대차와 위탁운영을 허용해 민간자본 참여를 유도하면 지속적으로 요양시설 인프라 확충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추가로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부여해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 요양서비스 수요는 급증하고 있지만 서울과 수도권, 지방 대도시 등 수요가 몰리는 곳의 공급은 터무니없이 부족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요양산업에 보험사 등 대기업이 진출한다면 이 같은 공급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