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인상폭이 왜 회사채 시장 최대 화두가 됐나[채권공부방]
인상폭 충분치 않으면 한전채 발행 증가 불가피
AAA급 초우량채로 회사채 시장 구축효과 발생
"비우량채 중심으로 선별적 영향 미칠 듯"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안혜신 기자] 회사채 시장은 요새 전기요금이 얼마나 오를지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전기요금과 회사채가 무슨 상관이길래 다들 인상폭에 관심을 두고 있을 걸까요. 오늘은 작년부터 회사채 시장을 뒤흔든 한전채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한전채는 한국전력이 발행하는 회사채입니다. 우리나라 전기료는 원가에도 못 미치는 구조입니다. 만들어서 팔 수록 한전의 적자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한전이 기록한 적자만 32조원이 넘습니다.
한전은 이르면 이번주 자구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바탕으로 전기료 인상폭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이 인상폭이 적자를 만회할 수 있을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높습니다.
전기요금을 인상하려니 가뜩이나 물가도 껑충 뛰었는데 국민들의 저항감도 상당하죠. 그러니 결국 한전은 계속 전기를 만들어 팔려면 한전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전력은 신용등급이 AAA로 초우량채입니다. 정부가 보증을 서서 한전이 망할 일은 없기 때문이죠. 워낙 발행량이 많으니 AAA급 치고는 금리도 높습니다. 이런 한전채가 시장에 쏟아지니 기관투자자들은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를 굳이 살 필요가 없습니다. 한전채 발행물량이 많을 수록 회사채 시장에서 구축효과가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한전은 지난 1월 3조2000억원, 2월 2조7000억원, 3월 2조1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그나마 4월 들어서는 1조5800억원 발행에 그쳐 속도조절에 나섰는데요.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기요금 인상폭이 충분치 않다면 결국 한전채 발행을 통해 적자를 메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내년 총선을 감안할 때 전기 요금 인상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 2~4분기 만기가 돌아오는 한전채를 상환하기 위해 다시 발행(차환발행)해야 하는 수요와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 추가 감산 발표 역시 한전채의 물량 부담이 지속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최근 발행하고 있는 한전채 만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다는 점도 여전히 시장에는 불안 요인입니다. 한전이 가장 최근 발행한 장기물은 지난해 10월 5년물(200억원)이 마지막인데요. 이후 최근까지 2년물과 3년물 위주로 발행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료 인상이 이뤄지더라도 당장 내년 4분기부터 다시 한번 시장에 차환을 위한 한전채 발행이 이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시장에는 한전채 물량 증가로 인해 회사채 시장 전반에 작년과 같은 구축현상이 나타나기보다는 비우량채를 중심으로 한 선별적인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는 시선이 지배적입니다.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비우량채가 회사채 시장에 나오고 있는데 이들을 중심으로 한전채 물량 증가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전채는 한국전력이 발행하는 회사채입니다. 우리나라 전기료는 원가에도 못 미치는 구조입니다. 만들어서 팔 수록 한전의 적자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해 한전이 기록한 적자만 32조원이 넘습니다.
한전은 이르면 이번주 자구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바탕으로 전기료 인상폭이 결정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이 인상폭이 적자를 만회할 수 있을만큼 크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높습니다.
전기요금을 인상하려니 가뜩이나 물가도 껑충 뛰었는데 국민들의 저항감도 상당하죠. 그러니 결국 한전은 계속 전기를 만들어 팔려면 한전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한국전력은 신용등급이 AAA로 초우량채입니다. 정부가 보증을 서서 한전이 망할 일은 없기 때문이죠. 워낙 발행량이 많으니 AAA급 치고는 금리도 높습니다. 이런 한전채가 시장에 쏟아지니 기관투자자들은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를 굳이 살 필요가 없습니다. 한전채 발행물량이 많을 수록 회사채 시장에서 구축효과가 발생하는 이유입니다.
한전은 지난 1월 3조2000억원, 2월 2조7000억원, 3월 2조10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그나마 4월 들어서는 1조5800억원 발행에 그쳐 속도조절에 나섰는데요. 안심하긴 이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전기요금 인상폭이 충분치 않다면 결국 한전채 발행을 통해 적자를 메울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내년 총선을 감안할 때 전기 요금 인상폭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 2~4분기 만기가 돌아오는 한전채를 상환하기 위해 다시 발행(차환발행)해야 하는 수요와 석유수출국기구플러스(OPEC+) 추가 감산 발표 역시 한전채의 물량 부담이 지속될 수 있는 요인입니다.
최근 발행하고 있는 한전채 만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다는 점도 여전히 시장에는 불안 요인입니다. 한전이 가장 최근 발행한 장기물은 지난해 10월 5년물(200억원)이 마지막인데요. 이후 최근까지 2년물과 3년물 위주로 발행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료 인상이 이뤄지더라도 당장 내년 4분기부터 다시 한번 시장에 차환을 위한 한전채 발행이 이어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시장에는 한전채 물량 증가로 인해 회사채 시장 전반에 작년과 같은 구축현상이 나타나기보다는 비우량채를 중심으로 한 선별적인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는 시선이 지배적입니다. 2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비우량채가 회사채 시장에 나오고 있는데 이들을 중심으로 한전채 물량 증가에 따른 영향이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죠.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 AI 수혜국 될 것" JP모건이 제시하는 최적 포트폴리오는?
2‘연일 최고가’ 비트코인, 가상화폐 규제 완화 기대감 최고조
3서울장수, 고흥군과 농산물 판로확대 위한 업무협약 체결
4"돈 없으면 하지마" 정부, '부동산 PF' 자기자본비율 '3%→20%'로 높인다
5BNK경남은행, 서울옥션블루와 ‘맞손’…신규 사업모델 발굴
6 '선거법 위반' 김혜경 1심서 벌금 150만원 선고
7KB금융, 기관투자자 30명 초청해 ‘2024년 주주간담회’ 개최
8비수기에도 날았다...안다르, 3분기 최대 실적
9우리은행, 워킹맘 임직원 대상 ‘자녀 양육’ 특강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