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도 병역 의무 생기나...“징집 제도 필요해”
저출산 등으로 병역 자원 부족 심각
여성 징집·복무기간 연장 검토 필요

국민의 힘 신원식 의원(국방위원회 여당 간사)과 병무청, 성우회는 11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인구절벽 시대의 병역제도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전문가들은 병역 자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여성 징집 제도 ▲복무기간 확대 ▲대체 복무제 폐지 ▲예비군 제도 개편 등을 제시했다.
이한호 성우회 회장은 “여성도 징집이 될 수 있도록 병역법을 개정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최병욱 상명대 박사도 “여성 인력의 부사관, 장교 모집인원을 더 확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여성 징집 제도도 적극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복무기간을 기존 18개월에서 21개월 또는 24개월로 유연하게 늘리는 방안과 산업기능요원·예술 및 체육요원 등을 점진적으로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또 예비전력의 현실화를 위해 파트타임 또는 직업 예비군으로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편, 저출산은 전 세계적인 사회 문제이며,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았다. 내년에는 이 수치가 0.7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같은 기간 출생아 수는 24만9000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