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장화’가 ‘패션템’으로…‘다이애나비’도 신은 167년 된 부츠는 [브랜도피아]
167년 전통 영국 브랜드 ‘헌터’(HUNTER)
군인 부츠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진화
구매자 80%가 MZ…‘장마 괴담’에 매출 껑충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 공식 부츠였던 헌터

헌터의 대표 아이템인 ‘웰링턴 부츠’의 명칭은 1815년 워털루 전쟁의 승리를 이끈 웰링턴 공작의 이름으로부터 유래됐다. 웰링턴 공작은 전쟁에서도 편하게 신을 수 있는 부츠를 주문했고, 이때 만들어진 부츠가 영국군 군화로 사용되면서 웰링턴 부츠라 불리게 됐다. 이를 계기로 영국에선 레인부츠를 ‘웰링턴 부츠’, ‘웰리스’, ‘검부츠’ 등 다양한 애칭으로 부른다고 전해진다.
제1차,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품질을 인정받은 헌터는 1977년 영국 여왕과 에든버러 경으로부터 ‘영국왕실보증서(Royal Warrant)’를 부여받았다. 그 이래로 40년 넘는 기간동안 헌터는 영국 왕실에 제품을 공급하는 브랜드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헌터의 웰링턴 부츠는 다이애나비가 착용하며 당시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헌터는 ‘비 오는 날에만 찾는 브랜드’가 아닌 일상에서도 소화 가능한 캐주얼 아이템들도 선보이고 있다. 부츠를 통해 보여주던 워터프루프 기술을 의류에도 구현하여 다양한 가방, 슈즈, 우산, 장갑 제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레인부츠도 길이와 소재, 색상이 매우 다양하고 가격은 14만~19만원대다.
‘장마 괴담’에 더 잘 나간다…월매출 1억원 돌파
국내에서도 여러 연예인들이 헌터 부츠를 착용하며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 2013년까지 레인부츠는 여름 시즌 베스트셀러에 올랐지만 이후 인기가 식으며 한동안 업계는 여름 시즌 비인기 아이템으로 전락한 레인부츠 출시를 중단하기도 했다.
하지만 2021년부터 장마 기간이 길어지고 셀린느·샤넬 등 명품 브랜드들이 레인부츠 라인을 강화하면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를 중심으로 구매력이 폭발하며 헌터와 ‘락피쉬’ 등 대표적인 레인부츠 브랜드들의 매출이 크게 늘었다. 헌터는 올해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에 새로 매장을 내 최근 월매출이 1억원을 넘어섰다. ‘락피쉬’ 레인부츠는 최근 매출 급증에 한남동·성수동에 잇따라 쇼룸을 새로 열고 있다.

레인부츠 수요는 보통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는 6월부터 몰리지만, 올해는 5월 말부터 많은 양의 비가 내린 데다 장마 괴담까지 퍼지며 이른 ‘품귀 현상’이 발생했다. 패션기업 LF에 따르면 5월 1~23일 LF몰 내 ‘레인부츠’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26배, 전달 대비 6배 급증했다. 인기 검색어 상위에도 꾸준히 ‘레인부츠’, ‘핏플랍’ 등의 여름 슈즈 연관 키워드가 랭크돼 있다.
패션 플랫폼 W컨셉에선 지난달 1일부터 30일까지 약 한 달간 레인부츠, 아쿠아슈즈 등 장마 용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레인부츠는 같은 기간 매출이 20배 이상 늘었다. 신세계백화점에선 앞서 지난 4월부터 5월 15일까지 헌터 등이 포함된 여름 신발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65.8% 증가했다.
업계에선 레인부츠가 MZ세대의 패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고, 올해 긴 장마가 예상된단 추측이 이어지며 레인부츠의 인기는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달 레인부츠를 구매했다는 20대 직장인 홍모씨는 “장화라고 하면 어린 시절 신었던 노란 장화가 떠올라 사지 않았었는데 최근 부츠 형태로 많이 나온데다가 길이도 다양해져 선택의 폭이 넓어져 하나 마련했다”며 “올여름 많은 비가 쏟아진다는 이야기도 많아 일찌감치 마련하려고 했던 것인데 구매하는 도중에 품절이 돼 알림 신청까지 해서 구매했다”고 전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올해 장마가 유난히 길어진다는 소식에 고객들이 미리부터 장마 준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며 “개인의 취향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길이의 레인부츠 제품들이 나오고 있어 기능과 패션 모두 만족스럽다는 고객 반응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