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고층 모듈러 건물’ 시공에 한 발, 철골모듈러 기술 특허·인증 받아
화재에도 견디는 내화기술, 모듈 간 '원터치' 접합 기술 자체 개발
[이코노미스트 민보름 기자] GS건설이 철골모듈러 건축물을 상용화하는 데 필요한 공법 개발에 연이어 성공하면서 고층 모듈러 건물 상용화에 다가서고 있다.
GS건설은 철골모듈러 ‘내화기술’을 개발해 특허등록을 마친 데 이어 모듈 간 접합기술인 원터치형 ‘퀵 커넥터’를 자체 개발해 특허출원 및 한국지진공학회 기술인증서를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철골모듈러는 재료와 기술 특성 상 중·고층건물 모듈러 공법이나, 안정적인 건물을 짓기 위해선 화재에 버티는 ‘내화기술’과 각각의 모듈을 연결하는 기술이 추가로 필요하다.
GS건설이 자체개발해 특허 등록에 성공한 ‘내화성능이 확보된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모듈과 모듈이 만나는 하부에 내화보드를 부착해 3시간 동안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국내 건축법 상 13층 이상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는 3시간 이상 내화가 가능해야 한다.
이 같은 기술은 각각의 독립된 모듈을 제조해 철골에 석고보드를 둘러싸는 기존 방식보다 사용화가 쉽고 비용절감도 가능하다.
GS건설은 ‘퀵 커넥터’ 기술 개발을 통해 모듈 유닛 간 연결 작업을 더 쉽고 안정적으로 개선했다. 퀵 커넥터를 이용하면 현장에서 조이는 작업이 필요 없이 ‘원터치’ 연결을 통해 각 모듈을 연결할 수 있어 고력볼트로 모듈을 연결하는 것과 동일한 성능을 내면서 작업의 오차도 줄일 수 있다.
GS건설은 관련 연구개발(R&D)를 통해 국내 프리패브(Prefab, 모듈러)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미래혁신대표인 허윤홍 사장 산하에 프리패브사업그룹이 속해 있는 신사업부문과 연구개발본부인 RIF Tech(라이프텍, Research institute of Future Technology)을 함께 배치하는 등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GS건설 관계자는 “프리패브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기술 개발 및 검증에 집중하고 있으며, 사업에 필요한 기술력을 선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해경 “제주 좌초 어선 2척서 15명 중 현재 10명 구조”
2이재명 “김대중·노무현처럼 AI도 투자 선제 대응해야”
3“성능은 참 좋은데”…대만 ‘딥시크’ 사용 금지령, 다른 나라도?
4 용산 국립한글박물관 옥상 화재…진압 소방대원 1명 병원 이송
5트럼프발 글로벌 관세전쟁 개막…韓도 다음 타깃 되나
6국민이주, 2월 미국 영주권 전략 세미나 개최…’미국투자이민, EB-1A, NIW’ 가이드 제공
7트럼프-이시바, 내주 백악관서 첫 美日정상회담…대중·대북 논의 예상
8 美필라델피아 쇼핑몰 인근서 경비행기 추락…지상서 다수 사상<로이터>
9엘살바도르, IMF 요구 수용했다…비트코인 결제 의무화 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