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이자 얼마 안 돼”…5대 저축銀 정기예금 ‘1.4조’ 이탈
- 5대 저축은행 정기예금 규모 40조원 무너져
실적 악화 우려에 정기예금 금리 3%대로 낮춘 영향
다시 금리 4%대로 높였지만 ‘이자비용’ 부담↑

5대 저축은행 정기예금 잔액 40.3조→38.9조원
8일 저축은행들의 공시한 1분기 재무제표에 따르면 SBI저축은행·OK저축은행·한국투자저축은행·페퍼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 등 5대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규모는 1분기에 총 38조9456억원으로 전분기의 40조3852억원보다 1조4396억원(3.6%) 감소했다.
5대 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은 2021년 9월에 30조원을 돌파한 뒤 지난해 12월 말에는 처음으로 40조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3개월 만에 정기예금이 큰 규모로 감소하며 단기간에 자금이 빠르게 줄어들었다.
1분기 정기예금은 5대 저축은행에서 모두 감소했다. 각 저축은행을 보면 ▶SBI저축은행은 1.7% 감소한 11조7107억원 ▶OK저축은행은 3.9% 줄어든 10조7245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은 5.4% 감소한 7조3545억원 ▶페퍼저축은행은 2.0% 축소한 4조8921억원 ▶웰컴저축은행은 6.2% 감소한 4조2638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금리 경쟁이 사라지며 저축은행들은 정기예금 금리를 다시 낮췄고, 올 3월에는 업계 1, 2위인 SBI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연 3.5~3.8%로 지난해 말에 비해 2%포인트 가량 떨어졌다. 당시 우리은행의 정기예금 금리가 최고 연 3.8%로, 저축은행들이 시중은행보다 예금 유치 경쟁에서 밀리는 상황이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이에 대해 “이자비용이 증가하고 연체율까지 오르면서 연 4~5%대 금리를 제공하는 것이 굉장히 부담이 됐다”며 “자금 유치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다 올해 3월 미국 스타트업의 자금줄이었던 실리콘밸리은행(SVB)이 파산하면서 국내도 저축은행과 같은 중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비은행금융기관부터 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 탓에 고객 사이에 예금을 빼려는 심리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정기예금 금리 다시 연 4%대로…“비용 증가 불가피”

대표적으로 업계 1인 SBI저축은행의 순이익이 95.9% 줄어든 37억원을 기록했고, 한국투자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도 각각 20.3%, 70% 줄어든 137억원, 81억원에 그쳤다. 페퍼저축은행은 253억원 순손실을 기록했다. OK저축은행만 순이익이 40.8% 증가한 376억원을 기록했다.
저축은행의 순이익 감소 원인으로는 이자비용 증가와 대손충당금 적립이 꼽힌다. 5개 저축은행의 1분기 이자비용은 총 6822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106.85% 급증했다. 대손충당금도 2조5914억원으로 같은 기간 12.2% 증가했다.
저축은행의 순이익 감소는 2분기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1분기에 정기예금 잔액이 크게 줄면서 다시 금리가 연 4%대 정기예금 상품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달 8일 기준으로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3.99%를 기록했다. OK저축은행의 ‘이(e)-안심앱플러스정기예금’ 금리가 연 4.51%로 가장 높았고, 한국투자저축은행의 ‘비대면회전정기예금’, 페퍼저축은행의 ‘회전정기예금’, 웰컴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 모두 연 4.00%를 기록했다. SBI저축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연 3.60%다.
업계에선 이번에 수신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금리 인하 여력이 사라진 만큼 연체율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상위 5개 저축은행의 1분기 현재 평균 연체율은 4.8%로 지난해 동기보다 2.24%p 상승했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들의 대출 이자 부담이 높아 연체율 상승은 어쩔 수 없다”며 “저축은행마다 비용 절감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어머니, 아버지 저 장가갑니다”…‘결혼’ 김종민 끝내 눈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충청서 압승 거둔 이재명…득표율 88.15%(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