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평등 146국 중 105위 기록…지난해 보다 6계단↓
성평등 수준 세계 100위 밖으로 밀려나
![](/data/ecn/image/2023/06/21/ecn20230621000106.600x.0.jpg)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한국의 성평등 수준이 지난해보다 떨어져 100위권 밖으로 밀려나면서 하위권을 기록했다.
20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이 내놓은 ‘2023년 세계 젠더 격차 보고서’(Global Gender Gap Report 2023)를 보면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0.680로 전체 146개 국가 중 105위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지수가 0.010 떨어지며 99위에서 6계단 하락한 것이다.
경제 참여, 교육, 건강, 정치적 기회 등 4개 분야를 평가하는 젠더 격차 지수는 1에 가까울수록 성평등이 잘 이뤄져 있다는 의미다.
한국의 젠더 격차 지수는 2019년 108위, 2020년 102위, 지난해 99위로 수년간 상승했으나 올해 들어 순위는 물론 지수 자체에서도 후퇴를 기록했다.
한국은 올해 경제 참여·기회 부문(0.597)에서 114위, 교육 성취 부문(0.977)에서 104위에 머물렀다. 보건 부문(0.976)은 46위, 정치권력 분배(0.169) 부문에서는 88위였다. WEF는 “피지와 미얀마, 한국 등은 정치 권력 분배 부문에서 가장 퇴보한 국가들”이라고 꼬집었다.
1위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아이슬란드(0.912)가 차지했다. 뒤이어 노르웨이(0.879), 핀란드(0.863), 뉴질랜드(0.856), 스웨덴(0.815) 순으로 북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에 다수 포진했다. 영국(16위·0.792), 스페인(18위·0.791), 스위스(21위·0.783), 호주(26위·0.778), 캐나다(0.770) 등도 비교적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보다 성평등 수준이 낮은 곳은 중국(107위·0.678), 부르키나파소(109위·0.676), 일본(125위·0.647), 인도(127위·0.643), 사우디아라비아(131위·0.637) 등이었다. 성평등 꼴찌는 여성 억압 정책을 펴는 탈레반 정권이 들어선 아프가니스탄(146위·0.405)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6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7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8“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9“코스트코 어쩌나”...韓 창고형 할인점 대박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