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K택소노미에 다시 불붙은 ESG채권…불황 속 대안 될까

상반기 ESG채권 발행 규모 38조…전년比 12%↑
정부 지원책에 기업 적극 호응…대부분 녹색채권

ESG관련 이미지.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많은 기업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채권 발행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ESG채권 중 하나인 녹색채권에 대한 정부 지원책에 힘입어 기업들이 적극 호응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ESG채권 시장이 다시금 탄력을 받아 새로운 투자 대안처로 떠오를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30일 한국거래소 사회적책임투자채권 공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말 기준 국내 채권 시장에서 발행된 ESG채권 규모는 총 38조1847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말(34조2070억원) 대비 11.6% 증가했다. ESG채권은 환경·사회·지배구조 개선과 같은 기업의 사회책임투자와 관련된 자금을 조달할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다.

주요 ESG채권 발행 사례로 보면 LG에너지솔루션의 규모가 가장 컸다. LG에너지솔루션은 출범 후 첫 발행한 1조원 규모의 회사채를 모두 녹색채권으로 발행했다. 녹색채권은 조달한 자금을 친환경 관련 사업에 사용해야 하는 채권을 말한다. 발행 금리는 2년물 40.097%, 3년물 4.196%, 5년물 4.298%다. 이는 AA급 민평금리(민간 채권 평가사 평가 금리)보다 11~20bp(1bp=0.01%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최초 발행 신고금액은 5000억원 규모였다. 하지만 수요예측 결과 최소 발행 신고금액의 9배가 넘는 4조7200억원의 투자 수요가 몰렸고 이에 LG에너지솔루션 측은 당초 신고금액의 2배인 1조원으로 결정했다. LG에너지솔루션 회사채 수요예측에 몰린 금액은 2012년 공모 회사채 수요예측 제도가 도입된 이래 최고치다.

캠코도 지난 27일 10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총 3000억원을 발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하반기 2000억원의 녹색채권을 추가로 발행할 예정이다. 녹색채권 발행을 위해 캠코는 지난해 12월 프로젝트 적격성, 자금 운영체제 등을 평가하는 ‘ESG 금융상품 인증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이처럼 올해 ESG채권 시장 규모가 확대된 것은 환경부의 ‘한국형 녹색채권’ 지원책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환경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택소노미) 활성화를 위해 올해 녹색채권을 발행했거나 발행할 예정인 기업에 최대 3억원의 이자 지원책을 발표한 바 있다. 한국형 녹색채권은 발행자금이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의해 정의된 녹색경제활동에 사용되는 ESG채권이다. 실제 이 영향으로 올해 발행된 ESG채권 중 상당수를 녹색채권이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사진 LG에너지솔루션]


새로운 투자처로는 아직?

다만 IB업계에서는 ESG채권 시장이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투자처가 될 수 있으나 당장은 큰 수익을 기대하긴 어렵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정부 지원책 등 외부 요인에 큰 영향을 받는 만큼 공급과 수요 모두 일정치 않은데다 녹색채권에 지나치게 편중돼 있는 구조가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ESG채권은 정부의 지원책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발행 규모가 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ESG채권의 경우 일반채권 대비 제한되는 사용처와 까다로운 발행 요건 탓에 기업들이 자금조달 방법으로 잘 선택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ESG채권 시장이 활성화돼 있는 유럽과 달리 한국은 아직 태동단계에 머물러 있어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투자은행(IB) 업계 관계자는 “ESG채권 시장은 시장 논리에 의해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정책과 흐름 등 외부적 요소에 의해 만들어졌다”며 “ESG채권 시장은 ESG라는 세계적 흐름과 정부의 드라이브에 의해 만들어진 시장이라고 봐야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2~3년 간 ESG채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도 공기업과 연기금 등에서 ESG활동을 하고 있다는 증거로 ESG채권을 발행한 것이 컸다”면서도 “글로벌 ESG채권 시장이 서서히 성숙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점과 배터리 등 국내 관련 업종의 성장 등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아이폰 더 얇아질까..."프로맥스보다 비쌀 수도"

2 걸그룹 '뉴진스', 모든 멤버 법원에 탄원서 제출

3 尹 "대한민국은 광주의 피·눈물 위 서 있어"

4성심당 월세 '4억' 논란...코레일 "월세 무리하게 안 올려"

5 尹,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유가족과 입장

6심상치 않은 친환경차 부진...“그래도 대안은 있다”

7잠실구장에 뜬 신동빈 회장…선수단에 '통 큰' 선물

8하이브리드 뜬다...분주해진 완성차업계

9 신비주의 벗어 던진 고현정…MZ 뺨치는 힙한 패션

실시간 뉴스

1아이폰 더 얇아질까..."프로맥스보다 비쌀 수도"

2 걸그룹 '뉴진스', 모든 멤버 법원에 탄원서 제출

3 尹 "대한민국은 광주의 피·눈물 위 서 있어"

4성심당 월세 '4억' 논란...코레일 "월세 무리하게 안 올려"

5 尹,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유가족과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