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기한’ 100일 지난 라면 먹어도 된다…최대 291일까지
식약처 소비기한 참고값 공개
유탕면 8종 소비기한 104~291일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291일 지난 유탕면(라면)을 먹어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면의 최장 유통기한이 183일, 최장 소비기한은 291일로 책정됐다. 소비기한은 식품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한으로, 식품이 유통될 수 있는 기한을 표시한 유통기한과 다르다.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라면과 조림류 등 39개 식품 유형 120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을 공개했다. 소비기한 참고값은 식약처가 식품별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통해 정한 잠정 소비기한이다.
식약처는 유통기한 표시에서 소비기한 표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직접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하기 어려운 영세업자와 중소기업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소비기한 참고값을 제공한다.
이번에 공개된 소비기한은 ▲유탕면 8종 104~291일 ▲조림류 7종 4~21일 ▲어육소시지 2종 112~180일 ▲생햄 4종 69~140일 ▲양념육 5종 4~13일 등이다. 유탕면 8개 품목의 유통기한은 92~183일인데 소비기한은 이보다 더 긴 것이다.
기업들은 자신이 제조·판매하는 제품의 특성, 포장방법, 유통환경 등을 고려해 소비기한 설정보고서에서 가장 유사한 품목을 선택하고 해당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 범위 내에서 제품의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현재까지 총 51개 식품 유형 550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이 공개됐다”며 “토마토케첩, 조미김, 참기름, 들기름 등 소비기한이 6개월 이상인 식품에 대해서도 실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현재 소비기한 설정 실험이 진행 중인 품목에 대한 소비기한 참고값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소비기한 안내서는 식약처 식품안전나라, 한국식품산업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라면과 조림류 등 39개 식품 유형 120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을 공개했다. 소비기한 참고값은 식약처가 식품별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통해 정한 잠정 소비기한이다.
식약처는 유통기한 표시에서 소비기한 표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직접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하기 어려운 영세업자와 중소기업 등이 사용할 수 있도록 소비기한 참고값을 제공한다.
이번에 공개된 소비기한은 ▲유탕면 8종 104~291일 ▲조림류 7종 4~21일 ▲어육소시지 2종 112~180일 ▲생햄 4종 69~140일 ▲양념육 5종 4~13일 등이다. 유탕면 8개 품목의 유통기한은 92~183일인데 소비기한은 이보다 더 긴 것이다.
기업들은 자신이 제조·판매하는 제품의 특성, 포장방법, 유통환경 등을 고려해 소비기한 설정보고서에서 가장 유사한 품목을 선택하고 해당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 범위 내에서 제품의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다.
식약처는 “현재까지 총 51개 식품 유형 550개 품목의 소비기한 참고값이 공개됐다”며 “토마토케첩, 조미김, 참기름, 들기름 등 소비기한이 6개월 이상인 식품에 대해서도 실험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소비기한 표시제도의 안정적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현재 소비기한 설정 실험이 진행 중인 품목에 대한 소비기한 참고값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소비기한 안내서는 식약처 식품안전나라, 한국식품산업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일 상의 회장단 "에너지·첨단기술 민간 협력 강화"
2카카오스타일 지그재그, ‘블랙 프라이데이’ 역대급 흥행…일 거래액 100억 행진
3한경협 "조세 전문가 82%, 상속세 완화에 긍정"
4고양·의정부시·동대문구·세종시 '2024년 스마트도시' 인증
5BAT로스만스, 합성니코틴 전자담배 ‘노마드 싱크 5000’ 출시
6바이든 정부, 반도체 보조금 규모 줄인다…5억 달러 넘게 축소
7김종민 '11세 연하♥' 눈 뜨자마자…"혼자 몸 아녔으면"
810년 간 청약 경쟁률 높은 지역 1위 '세종시'…2위는 부산
9영종도 '누구나집' 입주 지연 1년 째…갈등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