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금융권 임직원 202명…고객 돈 7년 간 "1816억원 횡령"
- 업권별 횡령 규모, 은행이 전체의 83.1% 차지
환수율 12.4% 불과
강민국 의원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제도 개선 필요"

7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 수는 202명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1816억590만원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45명(89억8870만원 ) ▲2018년 37명(56억6780만원) ▲2019년 27명(84억5870 만원) ▲2020년 31명(20억8290만원) ▲2021년 20명(156억4860만원) ▲2022년 30명(826억8200만원) ▲2023년 7월까지 12명(580억7630만원) 등이다. 지난해부터 횡령금액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강 의원은 지난해 8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 TF' 를 운영하고 올해 6월 '금융회사 내부통제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음에도 횡령사고는 더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업권별로 횡령한 금액을 보면 은행이 1509억8010만원(83.1%)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저축은행 169억2180만원(9.3%), 증권 86억9600만원(4.8%), 보험 47억4200만원(2.6%), 카드 2억6600만원(0.2%) 순이다.
특히 저축은행을 포함한 은행 임직원 횡령의 경우 최근 들어 전체 금융업권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부터 올해 7월까지 발생한 임직원 횡령은 총 42건인데 이 중 은행 임직원의 횡령 건수는 36건으로 약 85.7%로 나타났다. 횡령금액은 99.4%(은행 1399억2930 만원)에 달했다.
거액의 횡령 사고가 계속되고 있지만 환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7년간 횡령액 중 환수가 이뤄진 금액은 224억6720만원으로 환수율이 12.4%에 불과했다.
특히 은행의 환수율은 7.6%(환수금 114억9820만원/전체 횡령액 1509억8010만원)에 그쳤다.
강 의원은 "금융권 횡령을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해 셀프 준법 경영 문화 정착에만 역량을 집중할 경우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관리 감독과 최고경영자(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사저 돌아간 윤석열에 꽃다발 건넨 입주민, '이 사람' 어머니였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효민 '금융맨' 남편, 놀라운 정체 밝혀졌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어게인 신당' 창당 말린 尹 "지금은 힘 합칠 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중복상장 단골 SK"…한국거래소, 엔무브 IPO에 제동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동물실험 폐지로 판 바뀌나...AI·오가노이드 뜨고 비임상 CRO는 악재?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