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얼음판 ‘한미 금리차’에도 기준금리 동결…추가 인상 가능성은?(종합)
한은 기준금리 5회 연속 3.50% 동결
금리차 우려에 “시장 변동성 더 집중해야”
증권가 “내년 2분기 지나야 금리 인하 가능”
![](/data/ecn/image/2023/08/24/ecn20230824000031.600x.0.jpg)
한미 금리차 2%p 유지, 美연준은 금리 인상 예고
24일 한은은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5회 연속 동결했다. 현재 금리는 연 3.50% 수준이다. 이에 한미 금리차는 2.00%p를 계속 유지하게 됐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의 이번 금리 동결 조치로 한미 금리차가 더 벌어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공개된 연준의 7월 회의록에 따르면 위원 대부분은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나타났다.
미 연방준비제도의 다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는 9월로 예정돼 있고 같은 달 한은 금통위는 열리지 않는다. 연준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있을 경우 금리 인상 폭은 0.25%p로 예상된다. 이 경우 한미 금리차는 2.25%p로 벌어진다.
이런 예상대로 연준의 9월 금리 인상이 실시되면 10월 금통위가 열리기까지 한은의 한미 금리차 대응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data/ecn/image/2023/08/24/ecn20230824000032.600x.0.jpg)
그는 “향후 잭슨홀에서 파월 연준 의장이 어떤 발언을 하더라도 9월 FOMC 미팅까지는 시간이 있다”며 “하루하루의 움직임에 반응하기보다는 전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지켜봐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예상보다 커지는 가계부채 “잠재 성장 저해 수준”
다만 이 총재는 가계부채 증가와 관련해서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총재는 “최근 두 달 동안 가계대출이 한은에서 예상한 것보다 더 증가했다”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중이 더 상승하지 않도록 정책당국과 한은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가계대출 증가 원인에 대해 시장에 형성된 ‘집값 바닥론’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그는 “집값이 바닥을 쳤으니까 대출을 받자라는 인식이 바탕이 깔려있고 거기에 더해 50년 만기 대출과 같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회피하는 방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data/ecn/image/2023/08/24/ecn20230824000033.600x.0.jpg)
그는 “금리 인하에 대해 말하기에는 너무 시기상조”라며 “대출 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예상으로 대출을 받아 집을 샀다면 상당히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총재는 특히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00% 밑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한은의 목표라는 점도 밝혔다.
그는 “가계부채 비율이 더 올라가면 우리나라의 성장 잠재력을 크게 저해할 가능성이 있고 이미 그 수준은 넘었다고 본다”며 “가계부채가 연착륙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인하, 빨라야 내년 2분기에 가능”
시장에서는 이번 기준금리 동결 조치로 한은이 대내외 불확실성에 선제 대응하기 어려워졌다고 평가했다. 금리 인하는 내년 2분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봤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대외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금융불균형 관련 리스크가 재부각되는 상황에서 한은이 경기적인 측면 만을 고려했다”며 “선제적으로 통화정책에 나서기는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금리인하 시점은 빨라야 2024년 2분기가 될 것”이라며 “올해 마지막 금통위가 11월에 열리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전망했다.
임 연구원은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점도 금리인하 시점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라며 “장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연준 긴축도 한은의 우려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키움증권, AI 기반 웹툰 형식 리포트 ‘리포툰’ 출시
2카드수수료율 ‘3년 만’ 또 인하…사실상 ‘제로’에 카드사 울상
3작년 '월급쟁이'가 낸 세금 60조원 돌파…역대 최대
4두나무, 디지털 악보 플랫폼 운영사 엠피에이지 인수
5증시 짓누르는 좀비기업에 칼 빼든 당국 “구조조정 본격화”
6승객 ‘신뢰’ 저버린 LCC...개선 사안은 ‘산더미’
7정비사업 고삐 죄는 삼성물산…그 이유는?
8‘저가’에 올라탄 LCC 승객들...“불안감 안고 떠난다”
9‘면발로 그린 32년’ 면사랑, 이제 음식 넘어 문화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