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글로벌 경쟁력 저하"…15년 간 순익 1.2배 증가 그쳐
은행연합회 '은행산업의 역할과 수익성' 발표
대출 156% 증가할 동안 순익은 24% 증가
"국내 금융그룹 중 글로벌 50위권 금융사 없어"
![](/data/ecn/image/2023/08/29/ecn20230829000017.600x.0.jpg)
29일 은행연합회가 발표한 '은행산업의 역할과 수익성'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대출 자산이 지난 15년 동안 2.5배 증가할 동안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2배 늘어나는 데 그쳤다.
국내 은행의 순이익을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17년엔 15조원을, 지난해엔 18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순이익은 24%(3조6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대출 자산은 989조원에서 2541조원으로 156.9%(96조8000억원) 급증했다.
수익성 지표를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미국과 캐나다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절반이나 그 이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data/ecn/image/2023/08/29/ecn20230829000018.600x.0.png)
두 지표는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이를 통해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다.
아울러 2013년부터 2022년 평균 ROA를 보면 국내 은행은 0.4%를 기록했다. 미국 은행들은 1.5%, 캐나다는 1.1%, 싱가포르는 0.9%를 기록하며 국내은행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상황이다.
같은 기간에 국내 은행권과 타업권 간 ROE를 보면 ▲은행업 5.2% ▲증권업 6.7% ▲보험업 6.8% ▲비금융업 6.2% 등으로 은행업이 가장 낮았다.
이에 대해 은행연합회는 "우리나라는 세계 13위의 경제규모와 6위의 무역규모를 지녔지만 국내 은행 산업의 경쟁력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뱅커지(The Banker) 기준 세계 50위 안에 속하는 금융그룹은 한 곳도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박창옥 은행연합회 상무이사는 "국내 은행들의 수익성이 회복되지 않는 이유는 이자이익 비중이 높은 영향이 있다"며 "비이자수익을 늘리기 위해 비금융 진출과 자산관리서비스 강화, 해외 수익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씨드비, 물염색 패키지 리뉴얼 완료…14일 공식몰에서 선론칭
2렉서스코리아, ‘디 올 뉴 LX 700h’ 사전 계약 돌입
3하나카드, 인니 국영 항공사 ‘가루다인도네시아’와 맞손...가성비 발리행 항공권 판매
4혼다코리아, ‘더 고 패밀리 시네마 데이’ 개최
5암투병 이겨낸 YB 윤도현, 유독 힘이 많이 된 '이것'
6“아이 낳으면 최대 1억원”…크래프톤, 파격 출산장려금 지급
7“응원팀 우승 시 최고 금리 7%”…하나은행, ‘K리그 우승적금’ 출시
8‘야구 훈련장’에 정의선 회장이...“승부도 중요, 건강은 최우선”
9원빈, 故김새론 빈소 찾았다….침통한 분위기 속 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