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GM 한국사업장, 지난달 판매 실적 3만1716대...전년 대비 74.2%↑
- 트랙스·트레일블레이저 등 해외 시장서 인기

GM 한국사업장은 지난 한 달(8월)간 내수 및 수출 시장에서 총 3만1716대(완성차 기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74.2% 증가한 것이다. 이에 힘입어 14달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상승세를 이어갔다.
GM 한국사업장의 지난달 해외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94.4% 증가한 2만8419대로 집계됐다. 이는 17달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성장세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파생모델 포함)가 지난 한 달간 1만9698대 수출되면서 실적을 견인했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크로스오버 차량을 새롭게 정의하는 쉐보레의 엔트리 레벨 모델이다. 넓은 공간과 새로운 기능, 현대적이고 스타일리시한 디자인을 갖춰 글로벌 시장에서 폭발적인 고객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지난 7월 국내 승용차 중 유일하게 2만대 이상(2만2375대) 수출되며 지난 6월에 이어 7월까지 2개월 연속 국내 승용차 수출 순위에서 1위에 올랐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파생모델 포함)는 하계 휴가 기간 영업일수 감소, 부평공장 생산 설비 개선을 위한 약 2주간의 가동 중단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8721대가 수출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7% 증가한 수치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세련된 디자인과 뛰어난 상품성을 바탕으로 올해 1~7월 누적 기준 13만8109대가 수출됐다. 현재 경쟁 차량과 큰 격차를 보이며 누적 수출 부문 1위를 달리고 있다.
GM 한국사업장의 지난달 내수 판매는 3297대로 집계됐다.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2129대 팔리며 실적을 리드했다.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674대 팔리며 힘을 보탰다.
지난 7월 말 국내 시장에 출시된 더 뉴 트레일블레이저는 기존 모델 대비 한층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완전히 새로워진 실내 디자인 등 부분 변경을 통해 상품성이 더욱 강화됐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공을 이어갈 예정이다.
쉐보레의 순수 전기차 볼트 EUV의 판매는 지난달 내수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5.0% 증가했다. 국내 판매 전기차 중 최대 수준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볼트 EV와 EUV는 GM의 전기차 대중화 가속화를 위한 전략 모델이다. 1회 충전 시 각각 414km, 403km를 주행할 수 있다. 급속충전 시 1시간 만에 전체 배터리 용량의 80%를 충전할 수 있다.
GM 한국사업장 영업·서비스 부문 구스타보 콜로시(Gustavo Colossi) 부사장은 “국내 승용차 수출 순위가 보여주는 것처럼 쉐보레의 글로벌 전략 차종인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가 국내외 고객들로부터 꾸준한 호응을 얻고 있다”면서 “쉐보레 제품에 대한 뜨거운 글로벌 시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트레일블레이저, 트래버스, 볼트 EUV, 타호, 콜로라도 등 인기 차종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 혜택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오타니, 드디어 ‘아빠’ 됩니다…“출산 휴가로 결장”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