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BNK금융, 3000억원 횡령사고에…S&P “평판 훼손 우려”
- “재무적 손실은 감내할 수준”
금감원 “은행 투자금융부 직원이 2988억원 횡령”

S&P는 22일 이번 경남은행의 횡령 사건에 대해 “BNK금융의 내부통제 및 평판 관련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며 “내부 모니터링 및 통제 시스템 취약성은 그룹의 리스크 관련 평가에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고 밝혔다.
S&P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한 면밀한 점검이 시행되지 못했고 금융사고 정황을 인지한 후에도 금융당국 보고가 지연된 것으로 보인다”며 “해당 직원은 약 15년간 동일 부서에서 대출 업무를 비롯해 사후관리 업무까지 수행하는 등 직무 분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일 ‘경남은행 횡령사고에 대한 검사결과(잠정)’ 자료를 내놓고 최근 경남은행에서 발생한 PF 대출 횡령사고에 대해 긴급 현장검사를 실시, 은행 투자금융부 직원이 총 2988억원을 횡령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경남은행 PF 대출 업무와 관련해 ▲대출금 지급 등 여신관리 ▲직무분리 등 인사관리 ▲사후점검 등 내부통제 절차가 전반적으로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경남은행에 대한 지주 자체검사의 경우에도 현물 점검 외 본점 사고예방 검사 실적이 전무했다고 전했다.
다만 금감원은 은행의 순손실액은 595억원이라고 밝혔다.
S&P도 “BNK금융의 탄탄한 고객 기반이 안정적인 매출을 지속해서 뒷받침할 것”이라며 “횡령 사건으로 인한 그룹의 재무적 손실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횡령 관련 손실 규모는 지난해 그룹 세전 이익의 약 5%에 해당한다”며 “BNK금융은 지난달 해당 손실을 지난해 및 올해 2분기 재무제표에 소급 반영했다”고 밝혔다.
또 “그룹의 자체적인 회수 노력을 고려할 때 실제 손실 금액은 당초 예상보다 줄어들 것”이라며 “그룹은 약 300억원 이상을 회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오타니, 드디어 ‘아빠’ 됩니다…“출산 휴가로 결장”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