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신용불량' 청년층 23만명…6개월 새 1만7000명 증가

20∼30대 개인회생 올해 상반기에만 2만5000건

서울의 한 은행 대출 창구 앞.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후 제때 갚지 못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된 30대 이하 청년층이 6개월 만에 1만7000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한국신용정보원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30대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약 23만12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과 비교했을 때 6개월 새 약 1만7000명 늘었으며, 전체 금융채무 불이행자 중 30대 이하 비중도 29.27%에서 29.75%로 확대됐다.

대출 이자를 90일 이상 연체하면 금융채무 불이행자로 등록돼 금융거래가 중단된다.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잔여 대출 원금을 의미하는 ‘등록 금액’도 늘어나는 추세다.

29세 이하 금융채무 불이행자의 평균 등록 금액은 지난해 말 2150만원에서 올해 6월 말 2370만원으로 증가했으며, 30대 역시 같은 기간 3460만원에서 3900만원으로 늘었다.

빚을 견디지 못해 결국 개인회생으로 눈을 돌리는 청년층도 늘어나고 있다. 진 의원이 대법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개인회생 신청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20∼30대 개인회생 신청 건수는 2만5244건으로 집계됐다. 

진 의원은 “청년층의 빚 부담이 금융 전반의 부실로 확대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의 관리·구제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2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3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4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5“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6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7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8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9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실시간 뉴스

1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2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3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4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5“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