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연봉 9000만원인 금융보험업...음식숙박업의 5배 넘어
근로소득자 인당 평균 급여 연 4024만원
금융보험업 평균치 8914만원으로 집계
평균치 가장 낮은 음식숙박업 1695만원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근로소득 신고자의 수(2021년 기준)는 1995만9148명, 합산 급여는 총 803조2086억원에 달한다.
전체 근로소득 신고자의 평균 소득(연간 기준)은 4024만원으로 나타났다. 인당 평균 소득이 가장 높은 업종은 8914만원의 금융보험업이었다. ▲전기가스수도업(연간 총 소득 7418만원) ▲광업(5530만원) ▲제조업(4874만원) ▲부동산업(4603만원) 등의 업종은 전체 평균치를 웃돌았다.
평균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업종은 1695만원의 음식숙박업종으로 나타났다. ▲소매업(2679만원) ▲농임어업(2871만원) ▲도매업(3658만원) ▲서비스업(3659만원) ▲건설업(3915만원) ▲보건업(4000만원) 등도 전체 평균 소득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평균 근로 소득 수준이 가장 높은 금융보험업과 가장 낮은 음식숙박업종의 격차는 5.3배에 달한다.
전체 근로소득 신고자 중 상위 0.1%의 연간 평균 소득 수준은 9억5615만원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 신고자의 상위 0.1%는 1만9959명 정도다. 상위 1%의 연간 평균 소득 수준은 3억1730만원에 달했다.
진선미 의원은 “13개 업종별 인당 근로소득 평균의 격차는 5배 이상”이라며 “업종별 근로 형태와 업무 강도 등 특성을 고려한 소득의 균형적 증대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2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3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4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5“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6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7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8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9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