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GS칼텍스, LG화학과 화이트 바이오 ‘협력’

3HP 공동 사업 위한 양해각서 체결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오른쪽)과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12일 LG화학 마곡 연구개발(R&D) 캠퍼스에서 양해각서 체결을 기념해 촬영하고 있다. [사진 GS칼텍스]
[이코노미스트 이창훈 기자] GS칼텍스가 LG화학과 생분해성 플라스틱 등 친환경 소재의 핵심 원료인 3HP 공동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양사는 2021년 3HP 양산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 7월 GS칼텍스 여수공장에 3HP 실증플랜트를 착공한 바 있다. 최근 완공된 이 공장은 2024년 1분기 본격적인 시제품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3HP는 식물성 유래 원료의 미생물 발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친환경 물질이다. 3HP로 만든 플라스틱은 뛰어난 생분해성과 높은 유연성을 지닌 고분자로 다양한 일회용품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3HP는 바이오 아크릴산으로 전환돼 기저귀에 적용되는 고흡수성수지(SAP) 및 도료, 점·접착제, 코팅제, 탄소섬유 등 여러 소재의 원료가 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3HP 기술 개발 시도는 있었으나 현재로선 상용·상업화된 사례는 없다. 양사의 시제품 생산이 세계 최초의 3HP 상용화 사례가 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는 이유다. 

양사의 협력은 GS칼텍스의 분리 정제 공정 기술 및 공정 스케일업 역량과 LG화학의 3HP 발효 원천 기술의 시너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스케일업은 실험실 규모에서 이뤄진 기술 개발이 상업화 규모의 공장에서도 경제적으로 성립하도록 그 규모를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말한다. 

이번 협력으로 양사는 3HP 공동 사업 모델 및 제반 사업을 함께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향후 생분해성 소재와 다양한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상황을 고려해 공동 사업 확대를 위한 합작법인 설립도 검토한다. 

허세홍 GS칼텍스 사장은 “양사의 친환경 원료 개발 협력을 통해 순환 경제 및 탄소 저감 기여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량을 강화하고 동시에 고부가가치 제품 사업화를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화이트 바이오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양사의 파트너십 강화를 통해 2050 넷제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을 지속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

6‘똘똘한 1채’ 열풍…지난해 서울 아파트 외지인 매입 역대 최고

7삼성물산, 4544억원 규모 송파 대림가락 재건축 시공사 선정

8한미약품그룹 갈등 종결…지배구조 향방 주목

9불확실의 시대, 리더는 왜 독서를 멈출 수 없는가

실시간 뉴스

1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2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3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

4주가 '반토막' 더본코리아 ...백종원 '오너 리스크' 함정 빠지나

5비만치료제 개발 드라이브…新치료제 개발 속도 내는 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