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졸 취업 늘린다더니…공공기관 신입 고졸 비율, 4년새 ‘반토막’
2019년 14.7%→상반기 6.7%로 급감
공공기관 전체 채용 규모 줄인 결과
이태규 의원 "고졸 취업 기회 늘려야"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허지은 기자] 공공기관이 채용한 신입 직원 중 고졸 출신 비율이 4년만에 절반 이하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태규 국민의힘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공공기관(지방공공기관 제외) 신입직원 중 고졸 출신 비율은 6.7%에 불과했다. 4년 전인 2019년 14.7%와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준이다.
공공기관 신입직원 중 고졸 출신 비율은 2019년 14.7%, 2020년 13.6%로 2년 연속 10%대를 유지했으나 2021년 8.5%로 떨어졌고 지난해 7.6%, 올해 2분기 6.7%로 매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기조는 윤석열 정부가 공공기관 신규 채용 규모 자체를 줄이면서 일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2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3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서 올해 공공기관 신입 채용 규모를 2만2000명 안팎으로 발표한 바 있다.
실제 공공기관 신입 채용 인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19년 4만1195명 수준이던 신입 채용 규모는 2020년 3만645명, 2021년 2만6946명, 지난해 2만5356명으로 줄었고 올해 상반기 1만37명으로 감소했다.
추 부총리가 “형평성 강화 차원에서 고졸 채용 비중을 작년(7.6%)보다 높은 8% 이상으로 키우겠다”고 밝혔지만, 전체 채용 인원이 줄어들면서 고졸 채용 관문도 좁아진 셈이다.
고졸 이하가 회사를 창업하는 경우도 감소하고 있다. 이태규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제출받아 창업기업 대표의 학력을 조사한 결과 고졸 이하 비중은 2020년 44.8%로 8년 전인 2012년 48.5%보다 3.7%포인트 하락했다.
고졸 이하 창업자의 경우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수리업, 서비스업 등 단순 노동업종을 운영하는 비중이 높았다. 반면 전문대졸 이상 창업자는 금융 및 보험업, 교육서비스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태규 의원은 “공공기관 취업은 물론 창업에 있어서도 우리 사회에서 고졸 출신들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고졸 출신자에 대한 취업 기회 부여와 창업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14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태규 국민의힘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공공기관(지방공공기관 제외) 신입직원 중 고졸 출신 비율은 6.7%에 불과했다. 4년 전인 2019년 14.7%와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준이다.
공공기관 신입직원 중 고졸 출신 비율은 2019년 14.7%, 2020년 13.6%로 2년 연속 10%대를 유지했으나 2021년 8.5%로 떨어졌고 지난해 7.6%, 올해 2분기 6.7%로 매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기조는 윤석열 정부가 공공기관 신규 채용 규모 자체를 줄이면서 일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2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3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에서 올해 공공기관 신입 채용 규모를 2만2000명 안팎으로 발표한 바 있다.
실제 공공기관 신입 채용 인원 수는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19년 4만1195명 수준이던 신입 채용 규모는 2020년 3만645명, 2021년 2만6946명, 지난해 2만5356명으로 줄었고 올해 상반기 1만37명으로 감소했다.
추 부총리가 “형평성 강화 차원에서 고졸 채용 비중을 작년(7.6%)보다 높은 8% 이상으로 키우겠다”고 밝혔지만, 전체 채용 인원이 줄어들면서 고졸 채용 관문도 좁아진 셈이다.
고졸 이하가 회사를 창업하는 경우도 감소하고 있다. 이태규 의원이 통계청 자료를 제출받아 창업기업 대표의 학력을 조사한 결과 고졸 이하 비중은 2020년 44.8%로 8년 전인 2012년 48.5%보다 3.7%포인트 하락했다.
고졸 이하 창업자의 경우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수리업, 서비스업 등 단순 노동업종을 운영하는 비중이 높았다. 반면 전문대졸 이상 창업자는 금융 및 보험업, 교육서비스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을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태규 의원은 “공공기관 취업은 물론 창업에 있어서도 우리 사회에서 고졸 출신들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고졸 출신자에 대한 취업 기회 부여와 창업 지원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기 신도시 볕 드리우나…'선도지구' 매수 문의 '활활'
2해외촬영 중 비보…'티아라' 함은정 모친 별세
3청강문화산업대학교, '日 웹툰시장 진출전략 세미나' 진행
4‘오너 4세’ 허서홍, GS리테일 이끈다…“신성장동력 창출 기대”
5곽튜브, 부산까지 가서 "감칠 맛이…" 동공 커진 까닭은
6'믿을맨' 홍순기, GS 부회장 내정...리테일 대표엔 허서홍 부사장
7고현정에게 '모래시계'는…미스코리아 뒷얘기 공개
8학연·혈연 다 동원했다며…백종원 '진정성' 보여줄까
9분당·일산·평촌 등 13개 구역 3만6000가구 재건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