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자격 응시 5060 비율 10년 새 2배…‘인생 2막 준비’
응시자 중 50대 이상 비율 7.7%→15.8%
50대 합격률 54.9%…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아

15일 한국산업인력공단의 '2023년도 국가기술자격 수험자 기초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기술자격시험 필기시험 응시자 160만 명 중 50대가 약 18만 명으로 전체의 약 11.3%를 차지했고, 60대 이상은 전체의 4.5%인 7만여 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응시자 중 비율이 높은 연령대는 20대(36.4%)와 30대(18.0%)지만, 10년 전과 비교하면 50대 이상 장년층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2013년 기초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전체 응시자 123만여 명 중 50대는 8만3000여 명, 60대 이상은 1만2000여 명으로 각각 전체의 6.7%, 1.0%였다.
10년 사이 50대 이상 응시자의 비율이 꾸준히 상승해 7.7%에서 15.8%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같은 기간 50대 이상 응시 인원은 9만5478명에서 25만3450명으로 2.6배 증가했다.
50∼60대 응시자가 늘어난 것은 평균 수명이 길어지고 국민연금 수급 연령은 높아지는 등 노후 대비 중요성이 커지면서 자격증을 발판으로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2년의 경우 전체 응시자 중 학생의 비율이 36.1%로 가장 높고, 취업자(임금 근로자)의 비율은 28.4%였는데, 작년엔 취업자가 34.8%, 학생은 30.6%로 순위가 뒤바뀌었다.
50대 이상의 합격률도 10년 전보다 상승했다. 2012년의 경우 50대와 60대의 합격률은 각각 34.8%, 31.0%로 전체 합격률 36.3%보다 낮았다. 지난해에는 50대의 합격률이 전체 합격률(47.0%)보다 8%포인트 가까이 높은 54.9%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이 53.3%로 그다음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
2원/달러 환율, FOMC 회의록에 강달러 뚜렷…1,441.1원
3벤처기업협회, 송병준 컴투스 의장 차기 회장으로 추천
4서울시, 옛 국립보건원 부지 매각 절차 본격 나선다
5법원 도착한 尹 대통령, '내란 혐의' 첫 형사재판… 오후 헌재 변론
6 尹, 서울중앙지법 도착… 곧 구속취소 심문 출석
7신규채용 비중 6년 만 최저 기록…제조업은 20% 첫붕괴
8롯데마트, 취약계층 식사 지원...임직원 끝전 기부
9멕시카나치킨, 수익성 중심의 안심 창업… ‘돈 되는 상권, 준비된 점주’와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