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메일 정리·캐시 삭제로 환경보호?…네이버, 웨일서 캠페인 진행
-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환경보호 분야의 자원봉사 참여 활성화’
온라인 자원봉사 캠페인 ‘그린웨일’ 추진…그린웨일 확장 앱 마련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네이버가 환경보호 자원봉사 활성화에 나선다.
네이버는 웨일 브라우저를 활용한 온라인 자원봉사 캠페인 ‘그린웨일’(Green Whale)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이를 위해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와 ‘환경보호 분야의 자원봉사 참여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그린웨일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겠단 취지로 기획된 자원봉사 캠페인이다. 회사는 웨일 브라우저 이용자가 캠페인에 자연스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네이버 메일함 정리 ▲다운로드 기록 삭제 ▲브라우저 캐시 삭제 ▲브라우저 탭 닫기 등 쉽고 간편한 활동을 독려한다.
양사는 첫 협력 결과로 캠페인 전용 확장 앱(웹 애플리케이션) ‘그린웨일’을 출시했다. 확장 앱은 PC 버전 웨일 브라우저에 유용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이용자는 웨일 스토어에서 원하는 확장 앱을 다운받아 브라우저 사이드바에서 활용할 수 있다. 회사 측은 “웨일의 확장 앱 생태계는 호환성 높은 웹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다”며 “윈도우·맥·리눅스·Whale OS 등 PC OS의 종류와 상관없이 동일한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웨일 스토어에서 그린웨일 확장 앱을 다운받아, 네이버 계정으로 로그인 후 매일 주어지는 친환경 미션을 수행하면 캠페인 참여할 수 있다. ‘브라우저 캐시 삭제’와 같은 미션을 수행하면, 앱에서 나무가 성장한다. 나무가 일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이용자는 1365 자원봉사 포털에서 소정의 봉사 시간을 인정받을 수 있다.
양사는 그린웨일 캠페인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친환경 프로젝트를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이용자들의 캠페인 참여가 실제 숲 조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할 예정이다. 또, 교육 현장에서 그린웨일 캠페인의 일환으로 나무 심기 봉사활동을 기획하거나 환경보호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웨일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에듀테크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산하에서 활용되고 있다.
김주형 웨일 기획팀 리더는 “그린웨일 캠페인 활동들이 모여, 디지털 탄소를 저감하는 것은 물론 ‘탄소 흡수원’ 역할을 하는 산림을 조성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웨일은 웹 기반 플랫폼의 확장성을 살려, 이용자에게 웹 서핑 이상의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ESG, 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파트너들과 협업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의욱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센터장은 “전자 기기와 인터넷 사용 환경이 익숙해진 세상 속에서 우리는 종종 디지털 탄소 배출에 관한 불편한 진실을 목격하게 된다”며 “양사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그린웨일 캠페인이 이와 같은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실천의 장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韓대행, 대선출마 묻자 "노 코멘트…아직 결정 안내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윤여정, 아들 커밍아웃 고백 “뉴욕에서 결혼… 사위를 더 사랑해”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만원대 맞아?” BBQ 치킨에 짬뽕 무한리필 끝판왕 뷔페[먹어보고서]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한화에어로 유증 여전히 물음표…또 제동 걸렸다[위클리IB]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국내 TPD 회사는 저평가 되었나…당면한 숙제는 '임상'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