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골드만삭스자산운용, 40억달러 규모 4호 인프라펀드 결성

에너지전환·디지털인프라·운송물류 등 투자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40억달러(약 5조4000억원) 규모 4호 인프라펀드를 결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허지은 기자]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40억달러(약 5조4000억원) 규모 4호 인프라펀드를 결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결성된 ‘웨스트 스트리트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 4호(West Street Infrastructure Partners IV)’는 에너지 전환, 디지털 인프라, 운송·물류, 사회 인프라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국내 기관투자자(LP)와 고액자산가, 골드만삭스 임직원 등이 주요 출자자로 참여했다. 

필립 카무 골드만삭스자산운용 인프라 부문 회장은 “이번 펀드는 골드만삭스의 글로벌 인프라 플랫폼 역량, 트랙 레코드 및 거대한 규모가 잘 반영되며 성공적으로 결성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전 포트폴리오 투자 성과와 현재의 투자 기회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 진행될 골드만삭스 글로벌 인프라 플랫폼의 미래에 큰 기대를 하며, 투자자에게 일관된 수익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펀드는 이미 8개 기업에 23억달러(약 3조원) 규모 투자를 약정했다. 미국 신재생 가스 플랜트 신티카(Synthica), 노르웨이 수산 운송 인프라 기업 프로이그룹(Frøy ASA), 유럽 바이오메탄 플랜트 베르달리아(Verdalia), 미국 유틸리티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 그리드스토어(GridStor), 미국 가정용 광케이블 브로드밴드 제공사 임온커뮤니케이션스(ImOn Communications), 북유럽 재사용 모듈형 공간 임대 솔루션 기업 아답티오(Adapteo) 등이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은 올해 6월말 기준 2조7000억 달러 규모 운용자산(AUM)을 갖고 있다. 이 중 4260억달러를 대체 자산에 투자 중이다.

스캇 르보비츠 공동대표는 “탈탄소화, 디지털화, 탈세계화, 인구구조 변화는 인프라 자산군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각각 대규모 민간 자본 투자가 필요하다”며 “골드만삭스는 리스크 관리와 운용사의 가치창출 역량에 강점이 있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배달 1등’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넘었다

2NH선물, 웹 기반 선물·옵션 전용 거래 시스템  ‘써핑보드 W’ 정식 출시

3‘출범 4년’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 "혁신으로 금융 경계 확장"

4신한라이프, 청계천 환경 개선을 위한 ‘청계아띠’ 봉사활동

5"또 폭탄 돌리기"…롤러코스터 정치테마주 '주의보'

6현대차증권, 국내 최초 모빌리티 분야 ‘KOC’ 획득

7삼성물산 패션부문, ‘투게더 위크’ 프로모션 실시

8KFC코리아, 타코벨 운영권 확보...우선적 권한 획득

9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실시간 뉴스

1‘배달 1등’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넘었다

2NH선물, 웹 기반 선물·옵션 전용 거래 시스템  ‘써핑보드 W’ 정식 출시

3‘출범 4년’ 카카오뱅크 금융기술연구소 "혁신으로 금융 경계 확장"

4신한라이프, 청계천 환경 개선을 위한 ‘청계아띠’ 봉사활동

5"또 폭탄 돌리기"…롤러코스터 정치테마주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