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11개 기업과 6371억원 규모 투자협약…540명 신규 일자리 창출
[2023 경상남도 투자유치 설명회]
수도권 소재 기업 CEO 등 300여 명 참석
경남 투자 우수기업 10개 사 표창장 수여
잠재투자기업 네트워킹·성공사례 발표 진행

이날 설명회는 김병규 경남도 경제부지사와 수도권 소재 기업 CEO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잠재투자기업 네트워킹 ▲경남의 투자환경 및 투자지원제도 소개 ▲경남 투자기업 성공사례 발표 ▲투자협약과 경남 투자 우수기업 10개 사에 대한 표창장 수여 ▲맞춤형 투자 상담 등이 진행됐다.

KG모빌리티, KG스틸은 창원국가산업단지에 7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기존 내연기관 제조 및 철강 제조에서 차세대 전기차 핵심부품 제조로 사업재편을 이뤄내고, 이에 따른 신규설비를 증설해 100명의 신규 인력을 고용하기로 했다.
에스앤에스밸브는 진주시에 산업용 밸브류 제조를 위해 200억 원을 투자하고 30명을 고용할 예정이다. 호산은 진주뿌리일반산업단지에 알루미늄 패널류를 제조하기 위해 120억 원의 투자와 10명의 신규직원을 고용한다.
관광업 및 호텔 운영 전문 기업 터루는 장기간 휴업상태인 사천시 소재 남일대리조트를 인수하고, 약 3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와 200명의 신규고용을 창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관광 리조트와 숙박시설이 부족한 사천시의 관광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벽진에너지는 경남항공국가산업단지에 투자 협약하는 1호 기업으로 화학제품 및 금속 가공유를 전문 제조하는 기업이다. 약 200억 원의 투자와 30명의 신규고용을 통해 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국카본은 사천시 곤양면 일원에 항공기 부품 제조를 위하여 100억 원을 투자하고 50명을 신규 고용한다. 로카디는 사천제2일반산업단지에 항공기부품 제조로 100억 원 투자와 10명을 신규 고용한다.
두원하이스틸은 천연가스 운반용 강관 제조 전문 기업으로, 밀양시 삼랑진읍 일원에 강관 파이프 제조를 위한 공장을 신설하기 위하여 525억 원의 투자와 30명의 신규고용을 확정했다.
엠에스씨는 양산지역을 대표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물 소재 전문 제조사로 코로나19 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꾸준한 성장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양산시 상북면 일원에 1360억 원 투자와 60명 규모의 신규고용을 하는 대규모 투자를 확정했다.
식품 전문 기업 산청F&B는 산청군 산청한방항노화일반산업단지에 전통 먹거리 산업 활성화를 위해 66억 원을 투자하고, 20명을 신규고용 한다.
이번 투자협약을 통해 기존 주력산업의 고도화를 위한 항공우주, 방위산업을 비롯해 경남에 있는 천혜의 자연 자원을 활용한 관광 인프라를 통해 경남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방산 분야(총기 부품 제조 등) 영위 기업인 케이테크의 장진 대표가 경남 투자기업 성공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장 대표는 경남 투자 우수기업 10개사에 대한 경상남도지사 표창장 수여로 투자기업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했다.
투자 우수기업으로는 ▲컬리 ▲로만시스 ▲LT정밀 ▲지엠비코리아 ▲케이테크 ▲에이알알루미늄 ▲녹십자의료재단 ▲대한오토텍 ▲보그워너창녕 ▲경남큐에스에프 등이 선정됐다. 이들 기업은 도내 투자로 신규고용 창출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남해안 글로벌 관광벨트 조성사업과 연계한 관광 투자 프로젝트, 경남형 산업 혁신 전략, 경남형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핵심전략산업 선도 기업 투자유치 등에 대한 투자유치 전략 발표도 이어졌다.
김병규 경제부지사는 “경남은 항공우주, 방산, 원자력, 조성해양플랜트는 전국 1위, 기계산업 및 자동차 부품은 전국 상위권을 차지하는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중심지로서 향후 미래 성장 산업 투자유치를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을 해 나갈 계획”이라며 “주요 선도 기업 유치 등 전략적 투자유치 활동을 통한 기회발전 특구 지정에도 적극 대응하여, 경남에 투자를 선택한 기업인에 모든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무례·혐오' 포털 뉴스 댓글에 몰려...유튜브보다 많아
2 미-러 대표단, 2주 내 우크라 종전 협상 예정
3일본 '다케시마의 날' 행사 열어...정부 "즉각 폐지 엄중 촉구"
4뉴욕 경매시장에 등장한 조선 달항아리...추정가 36억원
5"美 생산 아니면 관세"...트럼프, 일라이 릴리·화이자 등 압박
6AI에 돈 쏟는 중국 IT 공룡들...알리바바도 투자 동참
7무궁무진한 AI, K콘텐츠와 만난다면
8산케이 “韓, 독도 불법 점거...국익 해칠 뿐” 다케시마의 날 잇단 도발
9성관계 후 의문의 붉은 점…韓 2030 '이것'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