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파운트, ‘K-핀테크 30’ 선정…“경쟁력 강화 집중”
- RA업권 유일 선정…미래 금융혁신 주도 기업으로 가능성 인정받아
투자유치 및 IR 기회 확대 등 스케일업 위한 종합지원 혜택 기대

앞서 금융위는 핀테크 산업의 저변을 확대하고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다각적,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그 일환으로 사업모델의 혁신성과 성장성을 갖춘 핀테크 대표기업 ‘K-핀테크 30’ 선발에 나섰다. 최종 기업은 핀테크 산업 분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자격요건 검토, 서면평가 및 최종 발표평가 등을 거쳐 선발했다. 이 과정에서 파운트는 알고리즘 기반의 로보어드바이저 기술 등에 대해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 등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K-핀테크 30에는 총 52개의 핀테크 기업이 지원했으며, 경쟁률은 5.2대 1을 기록했다.
파운트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한 금융 빅데이터 정제 및 분석, 머신러닝 등의 기술로 개인의 투자성향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한 포트폴리오를 추천 및 운용해준다. 현재는 연금 운용 등에 대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퇴직연금 일임 서비스까지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관련 알고리즘 개발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K-핀테크 30에 선정된 기업들은 정책금융 지원한도·금리조건 우대 등 다양한 정책자금 연계 지원 자격을 부여받을 예정이다. 정책금융기관의 핀테크 산업 지원 규모는 연간 2000억원이 목표다. 올해 5월 말 기준 집행 규모는 총 813억원이다.
금융회사 대출·외환 서비스 및 상품 우대 지원을 비롯해 투자유치 및 IR 기회 확대, 핀테크 지원 프로그램(보안 등) 및 전문 컨설팅, 해외시장 진출 등 스케일업(Scale-up)을 위한 맞춤형 종합지원 혜택도 주어진다.
이밖에 핀테크 혁신펀드 및 금융권의 디지털 전략펀드와의 투자연계, 유관기관 지원 프로그램에서 가점 부여, 데모데이 및 네트워킹시 우선선발 등도 지원받을 수 있다.
파운트는 금융당국의 지원 혜택을 활용해 투자유치 기회 다각화 및 지속가능한 성장동력 확보 등에 집중할 방침이다. 나아가 경쟁력 제고를 비롯해 사업 확장 및 투자자 자산 증식·편익 증대 등으로 이어지도록 힘쓸 계획이다.
김영빈 파운트 대표는 “이번 K-핀테크 30 선정으로 수많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파운트만의 로보어드바이저가 고액자산가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PB(프라이빗 뱅킹) 서비스의 대중화에 앞장서 온 그동안의 노력들을 인정받은 것 같다”며 “금융당국의 맞춤형 종합지원 등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강화하는 등 투자자 편익 증진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선관위에 '붉은 천' 파묻은 의문의 무리들...경찰 수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복수하겠다”…이찬원도 ‘깜짝’ 놀란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14배 폭등 끝 ‘급전직하’ 상지건설…장 마감후 대규모 CB 전환 공시(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