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11월 기대인플레이션 3.4%…고금리에 ‘집값 상승’ 기대 꺾여
- 한은 ‘2023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물가 상승 영향에 ‘공공요금’ 영향 높을 전망
주택가격전망 6p 떨어져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3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4%로 전월과 동일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월에 전월보다 0.1%p 높아지며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바 있다. 이후 11월에도 10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하며 물가 기대치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말하는 물가인식은 4.1%로 전월과 같았다. 소비자들은 향후 물가상승률에 대해 쉽게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소비지출전망CSI는 높은 물가 수준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로 외식비(-2p), 여행비(-2p), 교양·오락·문화비(-2p) 등을 중심으로 2p 하락한 111을 기록했다.
금리수준전망CSI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된 영향으로 9p 하락한 119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전망CSI는 6p 하락한 102로 집계됐다. 9월과 10월에는 각각 110, 108을 기록했다. 한은은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거래량도 부진한 가운데 대출 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李대통령 “美투자 요구 그대로 수용하면 韓금융위기 초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배우 송승헌, 21일 모친상…인터뷰 일정도 취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속보]李대통령 “美투자 요구 그대로 수용하면 韓금융위기 초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兆단위 딜 실종…불확실성 속 몸사리는 M&A 시장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 “마약중독 치료제, 필요시 추가 개발도 가능”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