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기대인플레이션 3.4%…고금리에 ‘집값 상승’ 기대 꺾여
한은 ‘2023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 발표
물가 상승 영향에 ‘공공요금’ 영향 높을 전망
주택가격전망 6p 떨어져
![](/data/ecn/image/2023/11/27/ecn20231127000029.800x.0.jpg)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3년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1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4%로 전월과 동일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월에 전월보다 0.1%p 높아지며 8개월 만에 상승 전환한 바 있다. 이후 11월에도 10월과 같은 수준을 기록하며 물가 기대치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모습이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말하는 물가인식은 4.1%로 전월과 같았다. 소비자들은 향후 물가상승률에 대해 쉽게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data/ecn/image/2023/11/27/ecn20231127000050.800x.0.png)
소비지출전망CSI는 높은 물가 수준에 따른 소비 여력 둔화로 외식비(-2p), 여행비(-2p), 교양·오락·문화비(-2p) 등을 중심으로 2p 하락한 111을 기록했다.
금리수준전망CSI는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기준금리 인상 종료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된 영향으로 9p 하락한 119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전망CSI는 6p 하락한 102로 집계됐다. 9월과 10월에는 각각 110, 108을 기록했다. 한은은 전국 주택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거래량도 부진한 가운데 대출 금리가 높은 수준을 지속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유류세 인하 2개월 연장…휘발유 15%·경유 23% 인하폭 유지
2메리츠증권, '영업이익 1조' 달성…전년比 20%↑
3신탁·리츠도 도심복합사업 참여 가능…용적률 140%까지 완화
4“1500%도 적다는 성과급 전쟁”...보상일까 vs 근로 대가 임금일까
5뉴욕증시, 숨고르기 들어갔다…혼조세 마감
6서울보증보험, 몸값 대폭 낮췄지만…여전한 구주매출 부담
7“성과급 전쟁”...노사 분쟁한 SK하이닉스부터 기 살리기 나선 삼성까지
8뉴욕유가, 트럼프 "유가 낮출 것" 강조에 하락…WTI, 0.6%↓
9“저녁 있는 삶 생겼다”...변화의 바람 부는 hy 변경구號